
구조와 등장 인물의 성격, 구조와 의미
이야기의 실체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공부 내용3. 구조와 등장 인물의 성격, 구조와 의미, 이야기의 실체
나름대로 시간을 들여서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라는 책을 다 읽었고 독후감도 적었습니다. 그리고 나름대로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첫번째로 책 내에서 제5장 ‘구조와 등장 인물의 성격’, 제6장 ‘구조와 의미’, 제7장 ‘이야기의 실체’에 대해서 다룹니다.
- 이 정리내용은 어디까지나 제 공부를 위해서 작성한 것이므로, 더 많은 내용이 필요하시다거나하는 생각이 드신다면 직접 책을 구매하셔서 읽어보심을 추천드립니다.
Table of Contents

제5장 구조와 등장 인물의 성격
성격과 인물 묘사
진정한 성격은 인간이 어떤 압력에 직면해서 행하게 되는 선택을 통해 밝혀진다. 그 압력이 크면 클수록 성격은 더 깊숙이까지 드러나게 되며, 성격의 핵심적인 본성으로부터 행해지는 선택은 좀더 진실성을 띤다.
성격의 발현
인물 묘사와 상반되는 성격의 발현은 주요 등장 인물들에게 핵심적인 사항이다. 보조 인물들의 경우 숨겨져 있는 성격은 필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주역들의 경우는 반드시 이와 같은 깊이가 있어야 한다. 그들의 얼굴에서 보이는 사람과 그들의 가슴 속에 들어 있는 사람은 달라야 한다.
구조와 성격의 기능
구조와 성격은 서로 맞물려 있다. 구조는 등장인물들이 이야기의 압력 밑에서 그들의 선택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따라 본모습이 변화하는 피조물인 경우에, 그 피조물들이 선택하고 행동하는 과정 속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둘 중 하나가 변화하면 다른 한 가지 또한 바뀌게 된다. 가령 사건의 설계를 바꾸면 인물의 성격 또한 바뀐다.
절정과 성격
영화는 마지막 20분이 관건이다. 시나리오를 쓰는 노력의 약 75%를 마지막 장의 절정을 만들어내는 데 바쳐라.
제6장 구조와 의미
전제
창작의 과정은 다음 두 가지의 아이디어가 한데 묶여서 만들어진다. 첫째는 전제이다. 이야기를 쓰고자 하는 작가의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아이디어이다. 두번째는 주도적인 아이디어이다. 인물의 행동과 마지막 장의 절정에서 드러나는 미학적 정서를 통해 표현되는 이야기의 궁극적 의미를 말한다.
전제는 작가의 내부에서 기다리고 있던 어떤 것, 작가 안에서 맹아의 형태로 자리 잡기 시작한 확신이나 세계관을 일깨운다. 그동안 축적되어 온 작가의 모든 경험은 바로 이 순간을 위해서 준비되어 온 것이며, 작가는 오직 그만의 방식으로 이 자극에 대답한다.
수사법으로서의 구조
숙련된 이야기꾼은 절대로 설명하지 않는다.
계몽주의
이야기를 논쟁적으로 구성할 때(아이디어와 역아이디어) 양쪽의 가치 모두가 균등한 힘을 가지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야기의 마지막 결론에 대립되는 장면과 시퀀스를 쓸 때에는 결론에 부합되는 장면에 들어가는 궛과 똑같은 정도의 진실성과 노력이 들어가야 한다.
관격을 설득하는 일에 열중하다 보면 이야기 안에서 한 축을 이뤄야 할 목소리가 질식할 것이다.
이상론자, 비관론자, 아이러니스트
- 주도적 아이디어가 이상론적인 경우 : 낙관주의, 희망, 인류의 꿈
- 주도적 아이디어가 비관론적인 경우 : 인간 문명과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에 대한 부정적 전망, 냉소, 상실감 또는 불행
- 주도적 아이디어가 아이러니인 경우 :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지닌 양면적 시각. 최대한 현실에 가깝게 있는 그대로의 삶을 그려내려는 시도
아이러니에 대해
아이러니는 현실 그 자체를 묘사하기때문에 가장 쓰기 어려운데, 다음 세 가지 이유로 인해 가장 원숙한 지혜와 가장 높은 수준의 기교를 필요로 한다.
- 밝고 이상주의적인 것이든 냉정하고 비관주의적인 것이든 관객을 만족시키고 설득한 만한 수준의 절정을 쓰는 것 자체가 이미 충분히 어렵다. 그런데 아이러니는 두 가치가 동시에 들어 있어야 한다.
- 아이러니는 이중성이 아니다. 한 의미가 다른 하나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 채로 공존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중의적인 것이 아니다. 우연을 뜻하는 말도 아니다. 진정한 아이러니는 명백한 동기가 있다.
- 절정에서 주인공의 삶이 부정적이고 또 긍정적이기도 하다면, 어떻게 해야 두 가치가 이 이야기를 수용하는 관객들의 경험 속에서 서로를 부정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하나의 명백한 의미를 가진 채 살아남게 할 수 있는가?
제7장 이야기의 실체
주인공
일반적으로 주인공은 한 명이지만 여러 명일 수도 있다. 두 명 이상의 등장 인물이 복수 주인공을 형성하려면
- 주인공 그룹에 속한 모든 개인들은 한 가지 욕망을 충족시켜야 한다.
- 그 욕망을 달성하기 위한 투쟁의 과정에서 구성원들은 고락을 함께해야 한다. 단 복합 주인공인 경우는 복합 플롯의 이야기로 전개된다.
모든 주인공들이 어떤 특성한 특성들을 공유하고 있는데, 그 첫번째는 의지력이다. 주인공은 특별히 의지력이 강하다. 둘째는 주인공은 의식적인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의식적인것 뿐 아니라 무의식적인 욕망을 가지는 경우도 많다.
또, 주인공이 자신의 욕망의 대상을 추구해 나가는 능력에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의 욕망을 달성할 기회를 가져봐야 한다.
주인공은 자신의 의식적, 무의식적인 욕망을 끝까지, 이야기의 장르와 설정에서 정해지는 인간 한계의 끝까지 추구해 나갈 의지와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야기의 마지막 사건은 관객이 그것 이외에는 다른 결말을 생각 할 수 없을 정도가 되도록 치밀하게 준비되어야 한다.
주인공은 호감의 대상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편 주인공은 반드시 감정 이입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감정 이입이 될 만하다는 것은 대상이 ‘나와 같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