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국어] 14. 로마자 표기법

Last Updated: 2023년 3월 24일 Categories: , , Tags:

로마자 표기법

[공무원 국어] 14. 로마자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은 외국인들을 위한 표기법입니다. 요즘은 어째 잘 안나오던데, 그래도 가끔씩 나오면 외래어 표기법과 함께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문제들이 종종 나옵니다. 문제 풀때 엄청나게 고민하거나 혹은 슥슥 넘어갔는데 어라 틀렸어? 하는 경우들이 많죠. 하나씩 적어보겠습니다. 예전에 공부했던 부분이라서 혹여라도 지금과는 조금 다를 수도 있는데, 그런 부분은 양해를 바랍니다.

공무원 국어 로마자 표기법

1. ㄱ, ㄷ, ㅂ, ㄹ

ㄱ. ㄷ. ㅂ. ㄹ는 첫소리에서는 각각 g, d, b, r 로 적지만 받침으로는 k, t, p, l('ㄹ, ㄹ'은 'll'로 적습니다.)으로 표기합니다.
예) 구리(Guri), 설악(Seorak), 임실(Imsil), 울릉(Ulleung), 백암(Baegam), 옥천(Okcheon), 합덕(Hapdeok), 월곶[월곧](Wolgot), 벚꽃[벋꼳](beotkkot), 한밭[한받](Hanbat)

2. 이중모음의 표기

  1. 'ㅣ'모음이 덧나는 것은 'y'를 추가합니다.
    예)ㅑ - ya, ㅕ - yeo, ㅛ - yo, ㅠ - yu, ㅐ - ae, ㅒ - yae, ㅖ - ye. 
    청량리(Cheongnyangni), 여의도(Yeouido), 법륜사(Beomnyunsa)
  2. 'ㅗ'모음이 덧나는 것은 'w'를 추가합니다.
    예) 와 - wa, 왜 - wae, 웨 - we, 의 - ui, 으 - eu. 
    광주(Gwangju), 은하수(eunhasu)

3. 로마자 표기법의 기본 원칙

로마자를 표기할때는 기본적으로 전음을 합니다. 즉 표준발음대로 적습니다. 가령 독립문 같은 경우 발음 [동님문]을 기준으로 해서 Dongnimmun으로 적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음운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서 적습니다.

  1. 자음 사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백마[뱅마](Baengma), 왕십리[왕심니](Wangsimni)
  2. 'ㄴ, ㄹ'이 덧나는 경우: 학여울[항녀울](Hangnyeoul), 알약[알략](allyak)
  3. 구개음화가 되는 경우 : 해돋이[해도지](haedoji), 같이[가치](gachi), 맞히다[마치다](machida)
  4. 장모음 표기는 하지 않습니다. 거북선 : Geo':'bukseon -> Geobukseon

4. 로마자 표기법의 예외

로마자 표기법들도 국어가 다 그렇듯 역시나 예외가 꽤 많습니다. 이 친구들은 전자로 표기합니다. 즉 표기하는대로 적습니다.

  1. '의'는 '이'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습니다. 광희문(Gwanghuimun), 연희동(Yeonhui-dong)
  2.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습니다. 가령 이석민은 [이성민]이지만 그냥 Lee Seokmin으로 적습니다.
  3. 체언에서 'ㄱ, ㄷ, ㅂ' 소리가 뒤따르는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적습니다. 묵호시 : Mukho-si, 집현전 : Jiphyeonjeon, 오죽헌 : Ojukheon
  4. 행정구역 단위의 -do, -si, -gu, -dong, -gun, -myeon, -ri는 'ㅡ'을 적습니다. 가령 행정구역 제주도는 Jeju-do라고 하지만 섬 제주는 jeju, 독도는 섬이기에 Dokdo로 씁니다. 울릉도 역시 Ulleungdo로 쓰면 섬을 나타내지만 Ulleung-gun으로 쓰면 행정구역이 됩니다.

    * 한편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표기하지 않습니다. 삼죽면하면 위에서처럼 삼죽ㅡ면이 될텐데, 죽 부분에서 발음이 변해서 [삼중면]으로 되기에 그 변화는 표기하지 않고 그냥 Samjuk-myeon으로 씁니다.

    * 그리고 길 이름은 'ㅡ'를 넣어 적습니다. -ro, -daero, -ga, -gil 등입니다. Jong-ro로 쓰면 길 이름 종로가 됩니다. 하지만 Jongro 1-ga는 종로1가라는 지역명이기에 ㅡ을 쓰지 않습니다. Gangnam-daero, Sowol-gil 같은 식입니다.
  5. 발음상 경음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울산은 [울싼]이지만 그냥 Ulsan입니다. 팔당도 [팔땅]이지만 Paldang입니다. 그 외에 합정(Hapjeong), 압구정(Apgujeong) 등으로 씁니다.

     * 표기상 경음은 인정합니다. 벚꽃[벚꼳] 같은 경우는 원래부터 경음이 있으므로 beotkkot으로 씁니다.

     * 꽃 / 악기 / 음식은 소문자로 시작합니다. bibimbap, gimchi(kimchi는 허용입니다.) 등입니다.

    * 발음상 혼동이 있을 수 있는 경우는 'ㅡ'를 쓸 수 있습니다. Jung-ang같은 경우입니다.

5. 기타 표기

  1. 사이시옷은 's'가 아니라 't'로 적습니다. 샛별(Saetbyeol). 사람 이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이 있는데, 음운상 전자는 인정하지 않고 음절상 전자를 인정한다는 것입니다.
    예) 한빛나라는 사람이 있을 경우, 음운상 전자를 인정하지 않으니 한빛나(Han Bich-na)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음절상 전자는 인정하므로 [한][빋][나]라고 해서 Han Bit-na를 인정합니다. 한편 발음대로 적는 것도 역시 인정하지 않아서 [한빈나](Han Bin-na)역시 인정하지 않습니다.
  2. 전세계적으로 굳어진 표기는 그 표기를 인정합니다. 가령 신라 같은 경우 The Shilla라고 적으면 신라 호텔이 되고, Silla라고 쓰면 통일신라할 때 신라가 됩니다. 삼성 같은 경우 본래 Samseong이지만 다들 Samsung 샘숭이라고 쓰니까 인정해줍니다. 성씨 김 역시 본래는 Gim이 맞겠지만 Kim을 인정합니다.
  3.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ㅡ'없이 우리말로 적습니다. 이는 곧 전자가 아니라는 것이기도 합니다.
    예) 남산(Namsan), 설악산(Seoraksan), 속리산(Songnisan), 한강(Hangang), 불국사(Bulguksa), 다보탑(Dabotap)

    * 고유 명사 + 일반 명사인 경우에는 일반 명사는 영어로 번역하여 씁니다. 외국인을 위한 표기이기 때문이죠. Gimpo Airport, Olympic park 같은 식입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Popular posts:


© 2018 – 2023 All Rights Reserved
magnifiercrosschevron-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