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1년 후기

[2018년을 돌아보며] 2. 워드프레스 1년 후기. 워드프레스 블로그 1년 후기

워드프레스 1년 후기

워드프레스 블로그 1년 후기

[2018년을 돌아보며] 2. 워드프레스 블로그. 새로 한 것들중 유일하게 잘 되고 있는 것. 워드프레스 1년 후기.

2018을 돌아보며 제2부입니다. 제 워드프레스 1년 후기입니다. 제 워드프레스 블로그가 벌써 1년이 되었습니다. 물론 1년이 지나도 성장세는 그다지이지만 저는 그래도 기분이 좋습니다. 그 이야기를 써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1년 후기입니다.

2018년이 되자마자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나름대로 생각에 생각을 하다가 결국 과감하게 시작했습니다. 처음에 워드프레스라는 낯선 환경에서 매우 허둥대면서 가장 기본적인 테마 구입에서부터 (나름대로)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다 저와 많은 시간을 보냈던 X Theme를 구입하고, 곧 이어서 X Pro까지 추가로 구입했습니다. 그리고 여럿 플러그인을 사고 일단 활동을 시작했다. 중간에 아바다 테마도 구입했었지만 저에게는 잘 맞지 않더군요. 이미 X 테마로 어느 정도 블로그를 꾸민 탓도 있습니다.

여튼 5월까지는 시험 때문에 활동을 잘 못하다가 그 이후부터 시간이 날때마다 활동하고, 조금씩 조금씩 내부적으로 계속 만지다가 10월에 OXYGEN을 사고 현재의 블로그 구조를 갖췄습니다. 그리고 플러그인들도 X Pro를 썼을 때에는 50, 60개나 있었지만 지금은 애드온들을 제외한다면 20개 안팤으로 많이 줄였습니다. 그리고 아마존 CDN도 설치하고 허접하지만 로고와 favicon도 만들고 정돈도 나름 되어서 일단 내년에는 공부에 더더욱 집중할 수 있을 정도로 내실을 다졌습니다. 하나 아쉬운 점은 페이지를 만들지 못한 점과 글을 98개만 써서 100개를 채우지 못했다는 것. 물론 지금 2018년 후기를 쓰면 아주 상징적으로 딱 100개! 이게 가능했겠지만 12월 31일에도 나름대로 바빴기 때문에 결국 2019년 1월 2일이 되어서야 이 글을 올립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활동을 하면서 사람이 언제오나 언제오나 항상 노래를 불렀지만 1년 그래프를 보니 나름대로 폭발적인 상승세가 있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그 상승세가 그래프로 봤을 때만 상승세지 실제로는 하루 30명 정도이니 매우 허접합니다. 그래도 나름대로 성장하는 모습은 매우 기쁘기 그지없습니다. 제 컴퓨터에 자료들이 참 많습니다. 나름대로 그 자료들을 조금씩 조금씩 쓰고 있는데 아직도 몇 달은 쓸 수 있을 정도의 자료들이 있습니다. 조금씩 조금씩 써가면서 시간이 되는 대로 다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내년이 끝날 때에도 다 쓸지는 모르겠습니다… 거기에 제 과거 티스토리 블로그에 있는 자료들도 조금씩 조금씩 지금 워드프레스 블로그로 옮겨주고 있습니다. 다만 보통 너무 예전 얘기들이라서 제 블로그 유입에는 도움이 그다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한편으로는 워드프레스가 블로그로는 국내의 인터넷 환경과는 잘 맞지 않는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예전에도 여러 번 이야기했었는데 워드프레스 블로그가 정말 네이버에 안 잡힙니다… 일단 대중적인 주제로는 그냥 안걸린다고 보는 것이 빠릅니다. 티스토리 쓰시는 분들도 아쉬움을 많이 말씀하시던데 워드프레스는 더 합니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에서 워드프레스 쓰시는 분들은 거의 다 구글에서 유입이 되더군요. 저는 유입 숫자 자체가 적어서그런지 네이버와 구글이 반반입니다. 아직은 제가 활동 자체가 부족한 것 같으니 그저 더더욱 열심히 하는 것만이 답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과거 티스토리에서 활동했을 때는 글 100개 가까이 쓰면 50~100분 정도 오셨던 것 같은데 많이 아쉽기도 합니다.

앞으로 할 이야기들도 많고 과거에 썼었던 앱 리뷰같은 것들도 글은 조금씩 조금씩 보충해주고 있습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상반기는 시험때문에 바빠서 활동이 어렵습니다만 그래도 최대한 열심히 하려 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활동하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을 돌아보며 1부. 개괄
2018년을 돌아보며 3부. 대한광통신 투자일지

Share your love
Subscribe
Notify of
guest

1 Comment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