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규정
· 돌
· 맞추다(맞히다와는 다릅니다.)
· 며칠(몇 일 이런거 없습니다. 무조건 며칠입니다. 몇 월 며칠)
· 빌리다(빌다 아닙니다.) 예 : 이자리를 '빌려' 감사의 뜻을, 외국에서 차관을 '빌려'오는... 빌어 이런거 안씁니다. 하지만 '빌어먹다'는 있습니다.
· 습니다(읍니다는 쓰지 않습니다.)
· 둘째, 셋째, 넷째(두째, 세째, 네째 안씁니다.)
물론 여기 적는 것들 말고도 훨씬 많지만 뭔가 이게? 싶은 것들만 적어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보시면 있습니다.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추가로 인정한 것
· 간지럽히다(간질이다)
· 남사스럽다(남세스럽다, 남우세스럽다)
· 등물(목물)
· 맨날(만날)
· 묫자리(묏자리)
· 복숭아뼈(복사뼈)
· 세간살이(세간)
· 쌉싸름하다(쌉싸래하다)
· 토란대(고운대)
·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 흙담(토담)
현재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것
· ~길래(~기에)
· 개발새발(괴발개발)
· 나래(날개)
· 내음(냄새)
· 눈꼬리(눈초리. 눈초리는 날카롭고 눈꼬리는 쳐진 것입니다. 그래도 눈초리가 처지다고 됩니다.)
· 떨구다(떨어뜨리다. 떨구다 : 시선을 아래로 향하다.)
· 뜨락(뜰. 뜨락 : 추상적 공간을 비유하는 뜻.)
· 먹거리(먹을 거리)
· 메꾸다(메우다. 메꾸다 : 무료한 시간을 적당히 또는 그럭저럭 흘러가게 하다.)
· 어리숙하다(어수룩하다)
· 연신(연방)
· 휭하니(힁허케)
· 걸리적거리다(거치적거리다)
· 끄적거리다(끼적거리다)
· 두리뭉실하다(두루뭉술하다)
· 민숭맨숭, 맹숭맹숭(맨송맨송)
· 바둥바둥(바동바동)
· 새초롬하다(새치름하다)
· 아웅다웅(아옹다옹)
· 야멸차다(야멸치다)
· 오손도손(오순도순)
· 찌뿌둥하다(찌뿌듯하다)
· 추근거리다(치근거리다)
모두 표준어로 인정
· 택견(태껸)
· 품새(품세)
· 짜장면(자장면)
현재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
· 꼬시다(꾀다, 꼬이다)
· 딴지(딴죽)
· 섬찟, 섬찟하다(섬뜩)
· 허접하다(허접스럽다)
· 개기다(개개다)
· 놀잇감(장난감)
·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 속앓이(속병)
· 초장초(작장초)
· 삐지다(삐치다)
· 눈두덩이(눈두덩)
· 구완와사(구완괘사)
· 굽신(굽실)
· 도긴개긴(도찐개찐 아니죠)
· 페미니스트
· '너무'를 긍정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복수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 마실('이웃에 놀러 다닌다'는 뜻만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마을간다'도 표준어입니다.)
· 이쁘다(예쁘다)
· 찰지다('차지다'의 원말입니다.)
* 고프다('-고 싶다'가 줄어든 말입니다.)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 푸르르다(푸르다)
· 꼬리연
· 의론(각자의 의견을 제시함), 의논(의견을 주고 받음)
· 이크(이키보다 큰 느낌입니다.)
· 잎새
비표준적이었던 활용형을 인정한 경우
· 말다 -> '마/마라'만 가능했지만 '마/마라/말아/말아라' 다 가능합니다.
· '노라네/동그라네' -> '노랗네/동그랗네' 등 가능합니다.
· 무리수 : 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거나 정도를 지나치게 벗어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뜻이 삭제됬다고 합니다.
· 걸판지다(추가됨) : 매우 푸지다, 동작이나 모양이 크고 어수선하다
· 거방지다 : 몸집이 크다, 하는 것이 점잖고 무게가 있다, 매우 푸지다
· 겉울음(추가됨) : 드러내 놓고 우는 울음, 마음에도 없이 겉으로만 우는 울음.
· 건울음(강울음) : 눈물 없이 우는 울음, 또는 억지로 우는 울음
· 까탈스럽다(까다롭다)
· 실뭉치(실몽당이. 실몽당이 : 실을 풀기 좋게 공 모양으로 감은 뭉치)
· 엘랑(에는. 엘랑 + '-ㄹ랑' 들도 포함합니다. -설랑, -고설랑...)
· 주책이다(주책없다)
· '해',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는 붙여썻지만 지금은 모두 붙여씁니다.
· 기다래지다 : 기다랗게 되다
· 이보십시오 : 듣는 이를 부를 때 쓰는 감탄사. 이보시오, 이보시게, 이봐요 등도 같이 등재되었습니다.
· 기(접두사) : '그것이 이미 된', '그것을 이미 한'의 의미가 추가됨. 기수강, 기출석, 기구축
· 굽다 : 한쪽으로 휘어져 있다. 뜻이 삭제되었다고 하네요...
· 곱다 : 곧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약간 급하게 휘어 있다.
단어의 발음 수정
· 효과는 효꽈
· 관건은 관껀
· 교과는 교꽈
각각 읽기가 가능해졌습니다.
· 금쪽같이
· 기반하다 : 바탕이나 토대를 두다
· 배춧잎
· 양반다리(책상다리)
· 합격점
· 꺼림하다, 께름직하다, 꺼림직이 : 북한어 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 추켜세우다, 추켜올리다, 치켜올리다 : 북한어 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