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4일
[공무원 한국사] 11. 고대의 정치 1, 삼국의 통치 체제

고대의 정치 1, 삼국의 통치 체제  삼국의 통치 체제에 대해서 다룹니다. 삼국의 중앙 통치 조직, 삼국의 행정 구역, 삼국의 군사 제도에 대해서 쓸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 항상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1. 삼국의 중앙 통치 조직 관등 : 관등제는 관리들의 등급을 정한 것으로, 종래의 족장적 성격을 띤 다양한 세력 집단이 왕 아래에 하나의 체계로 조직되어 상하 관계를 이룬 것입니다. 삼국의 […]

Read More
2023년 2월 16일
[공무원 국어] 13. 표준어 규정

[공무원 국어] 13. 표준어 규정 1. 발음 기준 기본음을 인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개비, 분침, 부대, 포대(푸대 아닙니다) 거센소리를 표준어로 인정하는 경우. 1) 녘 : 의존 명사입니다. 해 질 녘(해지다라는 말이 없습니다.), 동틀 녁('동트다'는 있습니다.), 아침 녘, 황혼 녘 * 예외 : 합성어로 쓰이는 경우 중에서 시간과 방향으로 쓰일 때는 붙여씁니다. 새벽녘, 저물녘, 어슬녘, 동녘, […]

Read More
2023년 2월 15일
[공무원 한국사] 10. 고대 사회의 발전.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3. 발해.

[공무원 한국사] 10. 고대 사회의 발전.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3. 발해. 1. 고구려 계승 의식 발해의 건국 : 당의 요서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자,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 민과 말갈 집단들은 전쟁의 피해를 거의 받지 않았던 만주 동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길림성의 돈화시 동모산 기슭에 진국(698)을 세웠습니다. 발해의 건국으로 남쪽의 신라와 북쪽의 […]

Read More
2023년 2월 15일
[공무원 한국사] 9. 고대 사회의 발전.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2. 후삼국의 성립

[공무원 한국사] 9. 고대 사회의 발전.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2. 후삼국의 성립 후백제 : 견훤은 전라도 지방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전주)에 도읍을 정하고 효공왕 4년(900) 후백제를 세웠습니다. 후백제는 오와 월 등 남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는 등 국제적 감각도 갖추었습니다. 후백제는 차령 산맥 이남의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을 차지하여, 그 지역의 우세한 경제력을 토대로 군사적 […]

Read More
2023년 2월 15일
[공무원 한국사] 8. 고대 사회의 발전.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공무원 한국사] 8. 고대 사회의 발전.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1. 통일신라 1. 골품제도 골품제도의 형성 : 신라의 골품 제도는 신라 6부 소속의 귀족과 지방의 족장 세력을 통합, 편제한 것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왕족을 대상으로 한 골제와 왕경 내의 일반 귀족을 대상으로 한 두품제가 각기 별도의 체제로 성립하였습니다. 그 후 진평왕 때에 이르러 왕족 내부에서 다시 성골이 […]

Read More
2023년 2월 14일
[공무원 한국사] 7. 고대 사회의 발전 3. 대외 항쟁과 삼국 통일

[공무원 한국사] 7. 고대 사회의 발전 3. 대외 항쟁과 삼국 통일 1. 수, 당과의 전쟁 여, 수 전쟁 : 중국을 통일한 수(589)가 동북쪽으로 세력 확대를 꾀하자, 고구려에는 위기감이 점차 높아졌습니다. 고구려는 북쪽의 돌궐과 남쪽의 백제, 왜와 연결하는 연합 세력을 구축하였습니다. 고구려는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요서 지방에 대한 선제 공격을 취했습니다. 영양왕 9년(598)에 1만 명의 말갈 […]

Read More
© 2018 – 2023 All Rights Reserved
magnifiercrosschevron-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