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여기서 소리대로 적되라는 부분은 한글이 표음문자임을,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부분은 한글의 표음주의 혹은 분철 및 종성부용초성을 나타냅니다.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합니다.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의해 적습니다.
명사화 접미사 1) 어원을 밝혀 적는 경우(어원 뜻을 그대로 가져옵니다.) · 어근 + 명사화 접미사 '-이', '-음(ㅁ)' : 길다(길+이), 엮다(엮+음), 살다(살+ㅁ=삶)
· 명사 + '이' : 바둑 + 이, 딸깍발 + 이
· '-하다', '-거리다'가 붙는 어근 + '-이' : 깔쭉이, 살살이, 꿀꿀이, 오뚝이, 삐죽이 * 도움 -> 도우미 : '도움거리다'라는 말이 없기 때문입니다.
·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 시늉말 어근에 '-이다'가 붙어서 된 용언 : 깜짝이다, 속삭이다, 망설이다 - 즉 망설거리다, 지껄거리다 등은 있는 것입니다.
2) 어원을 밝혀 적지 않는 경우(소리나는 대로 적습니다. 혹은 다른 뜻이 됩니다.) · 어근 + '-이, (으)-ㅁ' 이외의 명사화 접미사 : 묻가(묻 + 엄-> 무덤), 막다(막 + 암 -> 마감) * 예외 : '값어치, 벼슬아치, 반빗아치'는 어원을 밝혀 적습니다.
· 어근 + '-이', '(으)-ㅁ'이라도 그 어간의 뜻과 멀어진 경우 : 얼 + 음 -> 얼음/어름(모서리, 경계, 부근), 목걸 + 이 -> 목걸이/목거리(목이 붓고 아픈 병)
· '-하다',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 + '-이' : 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누더기, 동그라미, 깍두기
* 의성어인 경우 '-하다'나 '-거리다'는 첩어인 경우에만 붙일 수 있습니다. 꿀꿀거리다, 쌕쌕거리다 등..
부사화 접미사 1) '-이'와 '-히'의 구별 · '-히'로 적는 경우 : '용언의 기본형에 '-하다'가 붙을 수 있을때'가 원칙입니다. * 예외 · 용언의 기본형에 '-하다'가 붙을 수 있으나 '-이'로 굳어진 경우 : 가뜩이, 끔찍이, 깊숙이, 고즈넉이, 멀찍이, 수북이, 두둑이, 느직이, 해죽이, 자욱이 · 용언의 기본형에 '-하다'가 붙을 수 없으나 '-히'로 굳어진 경우 : 속히, 딱히, 작히, 특히
ㄷ. 둘 다 인정하는 경우 : 출렁거리다/출렁대다, 법석거리다/법석대다, 넘어트리다/넘어뜨리다, 깨트리다/깨뜨리다
ㄹ. (명사, 용언의 어근) +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 : 어원을 밝혀 적습니다.(즉, 모음으로 시작하면 어원을 적지 않습니다.) · 명사 : 값 + 지다, 넋 + 두리, 부엌 + 데기, 잎 + 사귀 · 어근 : 낚 + 시, 덮 + 개, 굵직 + 하다, 높 + 다랗다, 갉작거리다, 뜯적거리다, 늙수그레하다
* 여기서 어원을 밝혀 적지 않는 경우 ·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않는 경우 : 널따랗다/널찍하다, 얄따랗다/얄팍하다, 짤따랗다/짤막하다, 말끔하다/말짱하다 · 어원이 분명하지 않거나 멀어진 것 : 빈털터리, 넙치, 올무, 부리나케 - 털털이(어원을 밝힘), 빈털터리(어원을 밝히지 않음) · 어원은 분명하나 소리만 특이하게 변한 것은 변한 대로 적습니다. : 할아버지, 할아범 · '-업-, -읍-, -브'가 붙어서 된 말은 소리대로 적습니다. 미덥다, 우습다, 미쁘다
ㅁ. 사람을 표시하는 접미사(접미사 -> 파생어입니다.) · -꾼(-군X) : 심부름꾼, 익쌀꾼, 장꾼, 지게꾼 · -내기(-나기X) : 시골내기, 새내기 · -둥이(-동이X) : 바람둥이, 막둥이, 귀염둥이(모음조화가 파괴된 경우입니다.) · -장이(-쟁이) : 미장이, 도배장이, 땜장이, 침쟁이, 요술쟁이, 심술쟁이 · -꾸러기 : '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 걱정꾸러기 · -뱅이 : '그것을 특성으로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가난뱅이, 게으름뱅이, 안달뱅이, 주정뱅이 · -보 : '그것을 특성으로 지닌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싸움보, 잠보 / '그러한 행위를 특성으로 지닌 사람'의 뜻을 더하고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입니다. 먹보, 울보 / '그러한 특징을 지닌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땅딸보, 뚱뚱보
· -박이 : 무엇이 박혀 있는 사람이나 짐승 또는 물건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점박이, 차돌박이(차돌처럼 박혀있다는 의미입니다.) / 무엇이 박혀 있는 곳이라는 뜻을 더하거나 또는 한곳에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장승박이, 붙박이 · -배기 : '그 나이를 먹은 나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두 살배기, 다섯 살배기. / '그것이 들어 있거나 차 있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나이배기, 알배기 / '그런 물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공짜배기, 진짜배기 · -빼기 : 어근에 비속어의 뜻을 더할 때 씁니다. 곱빼기, 코빼기, 얼룩빼기
관련
Subscribe
Connect with
I allow to create an account
When you login first time using a Social Login button, we collect your account public profile information shared by Social Login provider, based on your privacy settings. We also get your email address to automatically create an account for you in our website. Once your account is created, you'll be logged-in to this account.
DisagreeAgree
Connect with
I allow to create an account
When you login first time using a Social Login button, we collect your account public profile information shared by Social Login provider, based on your privacy settings. We also get your email address to automatically create an account for you in our website. Once your account is created, you'll be logged-in to this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