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와 설정, 구조와 장르

구조와 설정
설정
이야기의 설정에는 네 가지의 차원이 있다. 시대 배경, 기간, 장소, 갈등의 정도.
이야기는 반드시 개연성의 내적 법칙에 따라야 한다. 그러므로 작가의 사건 선택은 자신이 창조해 낸 세계가 부여하는 개연성과 가능성에 제한받는다.
창조적 한계의 원칙
다루는 세계가 넓어질수록 세계에 대한 작가의 지식은 엷어지고, 그에 따라서 작가의 창조적 선택의 폭이 좁아질수록 이야기의 상투성은 늘어나게 된다. 다루는 세계가 좁을수록 그 세계에 대한 작가의 지식은 완전한 것이 되고 작가의 창조적 선택의 폭은 넓어진다. 그리고 그 결과 상투성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완벽하게 독창적인 이야기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연구 조사
하나의 이야기를 쓰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의 연구 방법이 필요한데, 본인의 기억을 기억해내는 방법, 어떤 질문을 던져서 상상력으로 쓰는 방법, 도서관 등에 가서 관련 지식을 익힌 후에 적는 것이다. 다만 이 작업이 작업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해서는 안된다.
창조적인 선택들
훌륭한 작품을 위해서는 실제로 사용 가능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재료들 중에서 등장 인물과 배경에 딱 들어맞는 것들을 골라낼 수 있어야 한다. 같은 장면을 열 번 혹은 열 다섯 번 정도 그려내서 최고의 선택을 골라보자.
구조와 장르
영화의 장르
- 러브 스토리 : 이 것의 부속 장르인 친구의 구원은 친구들 사이의 우정이 사랑을 대체한다.
- 공포 영화 : 크게 괴기, 초자연적, 초괴기(앞의 두가지의 중간)의 세 개의 부속 장르로 구분된다.
- 현대 서사극 : 개인 대 국가의 대립
- 서부극 : 윌 라이트의 ‘여섯 자루의 총과 사회’ 참고…
- 전쟁 영화 : 전쟁 영화란 특히 전투에 관한 것으로, 호전 영화와 반전 영화가 있다.
- 성장의 플롯 : 성장 영화
- 회복의 플롯 : 악당이었던 주인공이 선한 인간이 되는 윤리적 변화
- 징벌의 플롯 : 원래 선한 인물이었던 주인공이 악당으로 변화했다가 처벌받음
- 시험의 플롯 : 의지력과 포기하고픈 유혹 간의 대립
- 교육적 플롯 : 삶과 사람들 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주인공의 시각이 부정적이었다가 긍정적인 것으로 이행해 가는 깊은 변화
- 각성의 플롯 : 세계에 대한 전망이 긍정적인 것으로부터 부정적인 것으로 변화함
아래의 장르들은 범주가 너무 넓어서 여러 가지 부속 장르들의 변형들로 채워진다
- 코미디 : 패러디, 풍자, 시트콤, 로맨틱 코미디, 스크루볼, 소극, 블랙 코미디 등 부속 장르가 있으며 극중 대상과 그것들을 웃음거리로 삼는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 범죄극 : 극중 인물 누구의 관점에서 범죄를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된다. 살인 미스터리, 계획 범죄, 수사, 갱스터, 스릴러 또는 복수극, 법정, 신문, 첩보, 감옥, 누아르…
- 사회극 : 빈곤, 교육 제도 등 사회적 문제를 찾아낸 후 그 치유방법을 보여준다. 가족극, 여성 영화, 정치극, 환경극, 의료극, 사이코 드라마
- 액션/모험 : 폭발적인 액션과 과감한 행동들을 보여주기 위해 종종 전쟁 영화나 정치극 등 다른 장르의 특성들을 차용한다. 액션/모험뿐 아니라 재난/생존 영화 등도 포함
아래의 거대 장르들은 기초적인 장르나 부속 장르들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장르들로 마치 거대한 호화 주택과도 같다.
- 역사극 : 역사는 이야기 소재의 마르지 않는 원천이지만 그 과거의 것은 반드시 현대화되어야 한다. 자신을 통해 현재를 보여주는 투명한 유리로서 역사를 활용해야 한다. 현대사회의 대립 관계들은 너무나도 복잡해서 오히려 시간적인 거리를 설정해 놓았을 때 이런 복잡한 문제들이 훨씬 명확하게 보이곤 한다.
- 전기 : 역사극의 사촌이라 할 수 있으며 한 시대보다는 개인에게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단순한 연대기에 그쳐서는 안 된다. 전기 작가는 마치 소설을 쓰듯이 있었던 일들을 해석하고 대상이 된 인물의 삶의 의미를 찾아낸 뒤 그를 그의 삶이라는 장르의 주인공으로 등장시켜야 한다. 부속 장르인 자서던도 마찬가지.
- 다큐드라마 : 역사극의 육촌정도 관계이며 과거보다는 당대의 사건들을 주로 다룬다.
- 모방 기록 영화(모큐멘터리) : 다큐멘터리나 자전적인 이야기같지만 사실 철저한 허구이다. 이 장르는 관료화된 사회기구들을 풍자하기 위해 사실에 근거한 영화 만들기를 전복시킨다.
- 뮤지컬 : 오페라에서 파생된 것으로 어느 장르이든 뮤지컬이라는 형식 안에서 소화될 수 있다.
- 공상 과학 : 미래 역시 어떤 장르이든 성립될 수 있는 배경이 된다.
- 스포츠 : 스포츠는 등장 인물의 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여러 플롯이나 장르들을 자연스럽게 수용한다.
- 판타지 : 이 장르에서 작가는 자연 세계와 초자연 세계의 법칙들을 마음대로 뒤섞기도 하고 헝클어뜨리기도 하면서 시간과 공간, 그리고 물질의 세계를 마음대로 가지고 논다.
- 만화 영화 : 보편적인 만화의 법칙이 이 장르를 지배하며 어떠한 것도 다른 어떠한 것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업적인 것을 거부하는 자들을 위한 장르
- 예술 영화 : 장르를 벗어난 작품을 쓴다는 아방가르드적인 생각은 천진난만한 것이다. 예술 영화는 미니멀리즘과 반구조라는 두 가지의 부속 장르로 대별되는 전통적인 장르로 성장해 왔다. 이 두 장르 역시 각기 정형화된 관습들을 가지고 있다.
장르는 정체되거나 굳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모든 작가는 자기 이야기의 장르를 파악해야 하고 그 다음으로 그 장르를 활용하는 방식을 연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