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 공부]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수업내용 복습 9주차. (2) 동사의 무인칭 형태, 접속법 과거, 접속법의 개념 등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수업내용 복습 9주차로 동사의 무인칭 형태, 접속법 과거, 접속법의 개념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들을 적어봤습니다.

스페인어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수업내용 복습 9주차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수업내용 복습 9주차. 동사의 무인칭 형태, 접속법 과거 및 개념

저번 글에서도 말했지만 제가 기말 준비를 열심히 했는지 9주차부터는 공부 분량이 뭔가 더 많아졌습니다. 물론 공부를 많이 한 것이고 블로그에도 적을 것이 많으니 좋은 것입니다. 하여튼 이번에는 스페인어의 동사의 무인칭 형태, 접속법 과거 및 개념 등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들을 적어봤습니다.

  • 들어가기 전에: 공부 내용도 저작권이 있습니다. 그리고 제 스스로가 복습한다는 의미도 매우 중요하다보니 내용을 그대로 올리지 않고 제가 정리한 내용을 올립니다. 더 자세히 공부를 하고 싶으시다면 사이버한국외대를 직접 들어가셔서 확인하시기를 권합니다.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홈페이지

Table of Contents

스페인어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수업내용 복습 9주차. (2) 동사의 무인칭 형태, 접속법 과거, 접속법의 개념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수업내용 복습 9주차

동사의 무인칭 형태

동사원형의 형태

  • 1군 -ar
  • 2군 -er
  • 3군 -ir

동사원형의 용법

1) 의무 문답

  • ¿Què tienes que hacer?
    Tengo que estudiar español.
  • ¿Qué debo hacer para hablar bien el español?
    Debes repasar.
  • ¿Qué tiene que hacer?
    Tiene que dejar de fumar.
  • ¿Qué tiene que hacer?
    Tiene que dejar de tomar alcohol.

현재분사의 형태

1군

  • 현재분사 – -ando
  • 불규칙 – pedir / dormir / leer

2군, 3군

  • 현재분사 – -iendo
  • 불규칙 – pidiendo / durmiendo / leyendo

현재분사의 용법

1) 활동 문답

  • ¿Qué estás haciendo?
    Estoy comiendo.
  • ¿Qué estáis haciendo vosotros?
    Estamos tomando sangría.
  • ¿Qué está haciendo?
    Está cantando.
  • ¿Qué está haciendo?
    Está leyendo.

과거분사의 형태

1군

  • 동사원형 – -ar
  • 현재분사 – -ando
  • 과거분사 – -ado

2군, 3군

  • 동사원형 – -er(2군), -ir(3군)
  • 현재분사 – -iendo
  • 과거분사 – ido

1군

  • 현재분사 – -ado
  • 불규칙 decir / freír / leer

2군, 3군

  • 현재분사 – -ido
  • 불규칙 – dicho / frito / leído

과거분사의 용법

1) 상태 문답

  • ¿Cómo estás?
    Estoy estresado.
  • ¿Cómo está tu comida?
    Estos huevos fritos son patatas fritas están muy ricos.
  • ¿Cómo es el señor?
    Del dicho al hecho hay un trecho.

동사의 무인칭 형태와 목적격대명사

1) 동사원형 + 목적격 대명사

  • Necesito enseñarles el español a Uds.
    = Necesito enseñárselo.
    = Les necesito enseñarlo.
    = Se lo necesito enseñar.

2) 현재분사 + 목적격 대명사

  • Estoy enseñándoles a Uds. el español.
    = Estoy enseñándoselo.
    = Les estoy ensenándolo.
    = Se lo estoy enseñando.

3) 과거분사 + 목적격 대명사

  • Les he enseñado el español a Uds.
    = Se lo he enseñado.

4) 선물 문답

  • ¿Me vas a regular un anillo?
    Si, voy a regalártelo.
  • ¿Le está poniendo un collar?
    Sí, está poniéndoselo.
  • ¿Le has puesto la bufanda?
    Sí, se la he puesto.

접속법 과거1: 명사절

접속법 과거의 인칭별 활용

  • 제1변화형(hablar)

1인칭 단수 hablara / hablase

2인칭 단수 hablaras / hablases

3인칭 단수 hablara / hablase

1인칭 복수 habláramos / hablásemos

2인칭 복수 hablarais / hablaseis

3인칭 복수 hablaran / hablasen

  • 제2변화형(comer)

1인칭 단수 comiera / comiese

2인칭 단수 comieras / comieses

3인칭 단수 comiera / comiese

1인칭 복수 comiéramos / comiésemos

2인칭 복수 comierais / comieseis

3인칭 복수 comieran / coiesen

  • 제3변화형(vivir)

1인칭 단수 viviera / viviese

2인칭 단수 vivieras / vivieses

3인칭 단수 viviera / viviese

1인칭 복수 viviéramos / viviésemos

2인칭 복수 vivierais / vivieseis

3인칭 복수 vivieran / viviesen

  • 불규칙의 경우 기본적으로 직설법 과거의 활용형을 토대로 활용
    직설법 과거에서 규칙이면 접속법 과거에서도 규칙
    직설법 과거에서 불규칙이면 접속법 과거에서도 불규칙
  • 불규칙의 경우 기본적으로 직설법의 활용형을 토대로 활용됨
    querer 직설법 활용형 – quise-quisiste-quiso-quisimos-quisisteis-quisieron
    querer 접속법 활용형 – quisiera-quisieras-quisiera-quisiéramos-quisierais-qusieran
    poder 직설법 활용형 – pude-pudiste-pudo-pudimos-pudisteis-pudieron
    poder 접속법 활용형 – pudiera-pudieras-pudiera-pudiéramos-puierais-pudieran
    tener 직설법 활용형 – tuve-tuviste-tuvo-tuvimos-tuvisteis-tuvieron
    tener 접속법 활용형 – tuviera-tuvieras-tuviera-tuviéramos-tuvierais-tuvieran
    ir 직설법 활용형 – fui-fuiste-fue-fuimos-fuisteis-fueron
    ir 접속법 활용형 – fuera-fueras-fuera-fuéramos-fuerais-fueran

접속법의 개념과 명사절에서의 접속법 과거의 용법

접속법 과거의 개념

  • 과거에 주절의 동사가 종속절 내용의 실현 여부를 단정할 수 없을 때
    종속절의 동사는 접속법 과거를 씀
    즉, 주절의 동사가 과거의 희망, 불신, 불확실, 회의, 부정, 부탁, 권고, 사역, 명령, 금지, 허락 등을 의미하는 동사를 취할 경우, 종속절의 동사는 접속법 과거를 취하게 됨.
  • 주절의 동사가 희로애락 등과 같은 과거의 인간적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
    관용적으로 종속절은 접속법 과거를 취함

목적어로 기능하는 명사절(que가 이끄는 명사절)

  • Yo quería que tú hablaras bien el español.
    비교 Yo quiero que hables bien el español.
  • Yo no creía que ella fuera coreana. = Yo dudaba que ella fuera coreana.
    비교 Yo no creo que ella sea coreana. = Yo dudo que ella sea coreana.
  • Yo negué que pedro fuera mi amigo.
    비교 Yo niego que Pedro sea mi amigo.
  • Mi madre me dijo que yo volveria a casa pronto.
    비교 Mi madre me dice que yo vuelva a casa pronto.
  • La policía nos recomendó que saliéramos de esta zona.
    비교 La policía nos recomienda que salgamos de esta zona.

주어로 기능하는 명사절(que가 이끄는 명사절)

  • 접속사 que가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로 기능하는 경우는 일정한 패턴을 지님
    Fue / Era + 형용사 + que + 접속법
    Era importante que yo estudiara español.
    Fue lastimoso que tú no estuvieras conmigo.
    Era probable que lloviera mañana.
  • 단, 확실함/분명함을 의미하는 형용사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직설법을 씀.
    Era cierto que José quiería a Patricia.

과거의 감정을 나타내는 주절의 동사의 유발 원인으로서 que가 이끄는 종속절

  • Me alegré de que tú recibieras la beca
  • Yo sientí mucho que mi padre estuviera enfermo.
  • Yo tuve miedo de que hubiera un accidente.
  • Yo estaba preocupado por que ella perdiera el tren.

주절의 과거 동사가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

  • 이를 유발한 종속절의 과거 내용이 실제로 실현되었던 것인지, 또는 확실했던 것인지 등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음
  • 즉, 주절의 동사가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는 종속절에서 관용적으로 무조건 접속법이 쓰인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함.

que가 이끄는 명사절이 목적어인 경우 (대화 1)

  • Francisco – Ayer, el profesor me pidió que entregara la tarea antes de clase. – 어제 선생님이 나한테 수업 전에 과제를 제출하라고 하셨어.
  • Adela – ¿Pudiste hacerlo? Yo temía que no tuvieras tiempo suficiente. – 할 수 있었어? 나는 네가 시간이 부족할까 봐 걱정했어.
  • F – Sí. Pero dudaba que la información fuera correcta. – 응, 그런데 난 정보가 정확한지 의심스러웠어.
  • A – Entiendo. El profesor nos dijo que repasáramos juntos. – 이해해. 선생님이 우리에게 같이 복습하라고 하셨어.
  • F – Buena idea. Vamos a hacerlo ahora mismo. – 좋은 생각이야. 우리 지금 바로 하자.
  • A – Sí, me gusta estudiar contigo. – 응, 난 너와 같이 공부하는 게 좋아

que가 이끄는 명사절이 목적어인 경우(대화 2)

  • Beatriz – Diego, ¿ya terminaste el proyecto? – 디에고, 이제 프로젝트 다 끝났어?
  • Diego – No, todavía no. Esperaba que me ayudaran más con las datos. – 아니, 아직이야. 내가 데이터 부분에서 더 많은 도움이 필요했어.
  • B – ¿En serio? Yo pensaba que ya estaba todo listo. – 진짜야? 나는 이미 다 준비된 줄 알았어.
  • D – Sí, pero dudaba que los resultados fueran correctos. – 응, 근데 결과들이 정확한지 의심이 가고 있었어.
  • B – ¡No te preocupes! Todo irá bien. – 걱정 마! 모든 게 다 잘 될거야.
  • D – Ojalá. Es que yo no estaba seguro de que tuviera tiempo para corregirlo. – 그러면 좋겠다. 사실 수정할 시간이 있을지 확신이 없었어.

que가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인 경우(대화 1)

  • Sofía – Ya compré los billetes para el viaje. – 여행 티켓을 벌써 샀어.
  • Alejandro – ¡Qué bueno! Fue necesario que los reservaras con anticipación. – 잘했네! 미리 예약하는 게 필요했어.
  • S – Sí, pero era difícil que todos estuvieran de acuerdo con las fechas. – 응, 그런데 모두가 날짜에 동의하는 게 어려웠어.
  • A – Me lo imagino. Era lógico que cada uno tuviera diferentes planes. – 그랬겠네. 각자 다른 계획을 갖는 건 당연했지.
  • S – Exacto. Pero al final, fue imprescindible que eligiéramos una fecha pronto. – 맞아. 하지만 결국 빨리 날짜를 선택하는 게 꼭 필요했어.
  • A – Sí, ahora solo queda disfrutar del viaje. – 그렇지, 이제 여행을 즐기는 것만 남았다.

que가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인 경우(대화 2)

  • Verónica – ¿Cómo te fue en el examen de matemáticas? – 수학 시험 어땠어?
  • Daniel – No muy bien… Algunas preguntas fueron muy difíciles. – 별로 잘 못봤어… 몇몇 문제가 너무 어려웠어.
  • V – Era mejor que repasáramos más ejercicios. – 우리가 많은 연습 문제들을 복습하는 게 더 좋았을 텐데.
  • D – Sí, tienes razón. También fue equivocado que no practicáramos los problemas de los ańos anteriores. – 응, 네 말이 맞아. 그리고 이전 해들의 문제들을 연습하지 않은 게 실수였어.
  • V – No te preocupes. Lo importante es que hemos aprendido de esta experiencia. – 걱정하지 마. 중요한 건 우리가 이 경험에서 배운 것이야.
  • D – Sí, la próxima vez estudiaré más. – 응, 다음 번에는 더 열심히 공부할 거야.

주절의 동사가 과거의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대화 1)

  • Jaime – Me lamenté de que no pudieras venir a la reunión. – 네가 모임에 올 수 없었다는 것으로 난 서운했어.
  • Ana – Lo siento mucho, pero no pude ir porque tenía otra cosa que hacer. – 정말 미안해, 하지만 해야 할 다른 일이 있어서 갈 수 없었어.
  • J – Yo estaba preocupado por que no pudieras resolver el problema sin mí. – 난 나 없이 네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까봐 걱정했었어.
  • A – No te preocupes, todo salió bien. Muchas gracias. – 걱정하지 마. 모든 게 잘 됐어. 정말 고마워.

주절의 동사가 과거의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대화 2)

  • Emilio – Yo estaba muy preocupado por que Marta no contestara al teléfono. – 마르타가 전화에 답하지 않아서 난 너무 걱정이 됐어.
  • Diana – Sí, me sorprendió también. Normalmente siempre contesta. – 응, 나도 놀랐어. 보통 항상 받는데.
  • E – Era importante que ella estuviera allí, porrque tenía la información necesaria. – 그녀가 거기에 있는 게 중요했어. 왜냐하면 그녀가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거든.
  • D – Claro, pero no sé si llegó tarde o si tuvo algún problema. – 맞아, 그런데 그녀가 늦게 온 건지 아니면 어떤 문제가 있었던 건지 모르겠네.
  • E – Fue extraño que no nos avisara. – 그녀가 우리에게 알리지 않은 게 이상했어.
  • D – Esperamos que no sea nada grave. – 별일 아니길 바라자.

que가 이끄는 명사절이 목적어인 경우 예시

  • 나는 그가 시험을 위해 더 많이 공부하기를 기대했었다.
    Yo esperaba que él estudiara más para el examen.
  • 교통이 너무 혼잡했기 때문에 나는 그가 제 시간에 도착할지 의심했다.
    Yo dudaba que él llegara a tiempo porque había demasiado tráfico.

que가 이끄는 명사절이 주어인 경우 예시

  • 고객에게 보내기 전에 우리가 그 보고서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했다.
    Fue necesario que revisáramos el informe antes de enviarlo al cliente.
  • 그렇게 쉬운 질문에 대한 답을 아무도 알지 못했다는 것이 놀라웠다.
    For sorprendente que nadie supiera la respuesta a una pregunta tan fácil.

주절의 동사가 과거의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 예시

  • 네가 진실을 말하지 않아서 나는 정말 유감스러웠다.
    Sentí mucho que no me dijeras la verdad.
  • 우리는 그 사고 후에 네가 괜찮지 않을까봐 두려웠다.
    Tuvimos miedo de que no estuvieras bien después del accidente.
사랑을 나누세요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