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수학-여러-가지-연속성

[위상수학 공부] 10. 여러 가지 연속성

위상수학 공부 10번째 시간으로 여러 가지 연속성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들을 적어봤습니다. 사실상 연속 관련 내용들을 적은 것입니다.

여러 가지 연속성

여러 가지 연속성

위상수학 공부 10. 여러 가지 연속성

앞으로 공부 글은 일주일에 최소 두 개, 가능하면 세 개를 적으려고 합니다. 이게 여기 적는 내용만 보면 정말 금방금방 쓸 수 있을 것같은데, 제가 속도가 느린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하나 적을 때 최소 3시간, 보통 반나절은 걸리는 것같습니다. 사실 공부 능률은 정말 안나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여기 적는 의미가 있으니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여러 가지 연속성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들을 적어봤습니다.

Table of Contents

여러 가지 연속성
[위상수학 공부] 10. 여러 가지 연속성 1

정리 5.12

(X, 𝞣)와 (Y, 𝞣*)는 위상 공간이고 점 p는 X의 한 점입니다. f(p)의 모든 근방 N에 대해 역상 f-1(N)이 p의 근방이 될 때 함수 f가 p에서 연속이라고 합니다. 

정리 5.13

(X, 𝞣)와 (Y, 𝞣*)는 위상 공간이고 f는 X에서 Y로 가는 함수일 때 다음은 서로 동치입니다.

(1) f는 X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다.

(2) X의 임의의 부분집합 A에 대하여 f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f(cl(A)) ⊆ cl(f(A))

(3) Y의 임의에 닫힌 부분집합 F에 대하여 f-1(F)는 X의 닫힌 부분집합이다. 

(4) f는 연속 함수이다.

증명

(1) →  (2) f(cl(A))의 임의의 점 y를 택하면 cl(A)의 점 x가 존재하여 y = f(x)가 됩니다. y가 cl(f(A))에 속하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y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 H를 택하면 H는 y의 근방이 됩니다. f는 x에서 연속이므로 f-1(H)는 x의 근방입니다. 따라서 열린 집합 G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시킵니다.

x ∈ G ⊆ f-1(H)

한편 x가 cl(A)의 점이므로 G와 A는 적어도 한 개의 점을 공유합니다. 따라서 A ∩ G ≠ ∅이고 결국 f(A ∩ G) ≠ ∅입니다. 그런데

f(G) ⊆ f(f-1(H)) ⊆ H

이 되므로,

f(A) ∩ H ⊇ f(A) ∩ f(G) ⊇ f(A∩G) ≠ ∅

이 되어, f(A)와 H는 적어도 1개의 점을 공유합니다. 따라서 y는 cl(f(A))의 점입니다. 

(2) → (3) Y의 임의의 닫힌 집합 F를 택하면 F = cl(F)입니다. 따라서

f(cl(f-1(F))) ⊆ cl(f(f-1(F))) ⊆ cl(F) = F

→ cl(f-1(F)) ⊆ f-1(F) (∵ 역상의 정의)

→ cl(f-1(F)) = f-1(F) (∵ ∀A, A ⊆ cl(A))

 가 되어 f-1(F)는 X의 닫힌 부분집합입니다. 

(3) → (4) Y의 임의의 열린 집합 H를 택하면 Y – H는 닫힌 부분 집합입니다.

f-1(Y – H) = f-1(Y) – f-1(H) = X – f-1(H)

가 X의 닫힌 부분집합이므로 f-1(H)는 X의 열린 부분집합입니다. 즉 f는 연속함수입니다. 

(4) → (1) X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f(p)에 근방 N을 택하면 정의에 의해 f(p)를 포함하는 N의 열린 부분집합 H가 존재합니다. 즉 f(p) ∈ H ⊆ N입니다. 그런데 f-1(H)는 X의 열린 부분집합이고,

p ∈ f-1(H) ⊆ f-1(N)

이므로 f-1(N)은 p의 근방입니다.

예 5.14

f = 1 : (ℝ, U) → (ℝ, Cf)를 실수의 보통위상공간에서 실수의 여유한공간으로 가는 항등함수라 하겠습니다. 공역의 닫힌 집합 F를 택하면 F는 유한집합이거나 전체집합입니다. 그런데 f-1(F) =  F이고, 보통위상공간에서 유한집합과 전체집합은 모두 닫힌 집합이므로 f는 연속함수입니다.

예 5.15

g = 1 : (ℝ, U) → (ℝ, Cc)를 실수의 보통위상공간에서 실수의 여가산공간으로 가는 항등함수라 하겠습니다. 공역에서 집합 F = {1/n | n ∈ ℕ}를 택하면, F는 가산집합이므로 닫힌 집합입니다. 그런데 g-1(F) = F는 보통위상공간에서 극한점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닫힌 집합이 아닙니다. 따라서 g는 연속함수가 아닙니다.

정리 5.16

함수 f가 위상공간 X에서 위상공간 Y로 가는 함수라 하고 A가 X의 부분공간이라 하겠습니다. f : X → Y가 연속함수이면 축소함수 f|A : A → Y도 연속이 됩니다. 

증명

Y의 임의의 열린 집합 U에 대해 역상

(f|A)-1(U) = {x ∈ A | f(x) ∈ U} = A ∩ f-1(U)

가 A에서 열린 집합이므로 f|A는 연속입니다.

정리 5.17

함수 f가 위상공간 X에서 위상공간 Y로 가는 함수이고, X = ∪α∈ΓUα라 하겠습니다. 모든 Uα가 X에서 열린 집합이고, 모든 f|가 연속이면 f도 연속입니다. 

증명

모든 f|가 연속이고 모든 Uα가 X에서 열린 집합이라 하겠습니다. Y의 열린 집합 V를 택하면

f-1(V) = f-1(V) ∩ (∪α∈ΓUα) = ∪α∈Γ(f-1(V) ∩ Uα) = ∪α∈Γ(f|)-1(V)

입니다. 모든 (f|)-1(V)가 Uα에서 열린 집합이고, Uα는 X에서 열린 집합이므로 (f|)-1(V)는 X에서 열린 집합입니다. 열린 집합들의 합집합은 열린 집합이므로 f-1(V)는 X의 열린 집합입니다. 따라서 f는 연속함수입니다.

참고 5.18

위 정리에서 Uα가 열린 집합이 아니면 f가 연속함수가 안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 : ℝ → ℝ, f(x) = 0 (x ∈ (-∞, 0)), 1 (x ∈ [0, ∞)

는 연속함수가 아니지만, 두 축소함수

f|(-∞, 0) : ℝ → ℝ, f(x) = 0

f|[0, ∞) : ℝ → ℝ, f(x) = 1

등은 상수함수로서 모두 연속입니다. 

정리 5.19

함수 f가 위상공간 X에서 위상공간 Y로 가는 함수이고 X = A∪B라 하겠습니다. A와 B가 X의 닫힌 집합이고, f|A와 f|B가 연속이면 f도 연속입니다.

증명

A와 B가 X의 닫힌 집합이고, f|A와 f|B가 연속이라 하겠습니다. F를 Y의 닫힌 집합이라 하겠습니다.

f-1(F) = f-1(F)∩(A∪B) = (f-1(F)∩A)∪(f-1(F)∩B) = (f|A)-1(F)∪(f|B)-1(F)

입니다. (f|A)-1(F)는 닫힌 집합 A의 닫힌 부분집합이므로 X에서 닫힌 집합입니다. 마찬가지로 (f|B)-1(F)도 X에서 닫힌 집합입니다. 따라서 f-1(F)는 X에서 닫힌 집합입니다. 결국 f는 연속입니다.

정리 5.20

F는 위상공간 (X, 𝞣)에서 위상공간 (Y, 𝞣*)로 가는 함수입니다. 점 p ∈ X로 수렴하는 X의 임의의 수열 < an >에 대하여, Y의 수열 < f(an) >이 Y의 점 f(p)로 수렴하면 f는 점 p에서 수열연속이라고 합니다. X의 모든 점 p에서 f가 수열연속일 때 f를 수열연속함수라 합니다. 

보통위상공간에서는 연속함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수열연속함수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위상공간에서의 함수는 수열연속함수라고 해서 모두 연속함수는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연속함수은 수열연속함수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정리 5.21

(X, 𝞣), (Y, 𝞣*)가 위상공간일 때, X에서 Y로 가는 연속함수 f는 수열연속입니다.

증명

X의 수열 < an >이 p로 수렴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Y의 수열 < f(an) >이 f(p)로 수렴하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f(p)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 H를 택하겠습니다. f가 연속함수이므로 f-1(H)는 p를 포함하는 X의 열린 집합입니다. < an >이 p로 수렴하므로, 적당한 자연수 n*가 존재하여, n > n*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은 f-1(H)에 속합니다. 따라서 자연수 n*에 대하여

n > n* → f(an) ∈ H

이므로, 수열 < f(an) >은 f(p)로 수렴합니다. 따라서 f는 수열연속입니다.

예 5.22

여가산공간 (ℝ, Cc)에서 임의의 위상공간 (X, 𝞣)으로 가는 모든 함수 f는 수열연속입니다. 왜냐하면 (ℝ, Cc)의 수열 < an >이 p로 수렴하려면 수열은 반드시 다음의 형태를 갖기 때문입니다. 

< a1, a2, … ,  an, p, p, p, …>

따라서 수열

< f(an) > = < f(a1), f(a2), … , f(an), f(p), f(p), f(p), …>

은 x의 위상에 관계없이 항상 수렴합니다.

예 5.23

함수 f가 항등함수 1인 경우를 생각하면,

1 : (ℝ, Cc) → (ℝ, U)

는 위 예에 의해 수열연속함수입니다. 그러나 보통위상공간 (ℝ, U)의 열린 부분집합 (0, 1)의 역상인 (0, 1)이 (ℝ, Cc)의 열린 부분집합이 아니므로, 1은 연속함수가 아닙니다. 

정의 5.24

f는 위상공간 (X, 𝞣)에서 위상공간 (Y, 𝞣*)로 가는 함수입니다. 

(1) X의 임의의 열린 집합 G의 상 f(G)가 Y의 열린 집합일 때, f를 열린 함수라고 합니다. 

(2) X의 임의의 닫힌 집합 F의 상 f(F)가 Y의 닫힌 집합일 때, f를 닫힌 함수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닫힌 집합의 역상이 닫힌 집합이 되는 것이, 열린 집합의 역상이 열린 집합이 되는 것, 즉 연속함수의 조건과 동치인데 반하여, 열린 함수라고 해서 닫힌 함수가 되는 것은 아니며, 닫힌 함수도 열린 함수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랑을 나누세요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