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가산공간

[위상수학 공부] 18. 제1가산공간

위상수학 중에서 제1가산공간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들에 대해서 적어봤습니다. 여기가 정말 헷갈렸는데 그래도 공부하다보니 조금씩 여기가 그나마 할만한 구간이구나... 이런 생각이...

제1가산공간

제1가산공간

위상수학 공부 18. 제1가산공간.

이제 절반을 넘었는데 이미 4월이어서 이제는 블로그에 다 적기보다 그냥 공부를 해야 할 시기가 온 듯도 합니다만, 그래도 최대한 해보려고 합니다… 이왕 공부할 거 제 흔적을 남긴다는 생각에서… 여튼 이번에는 제1가산공간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들을 적어봤습니다. 이쪽 부분은 좀 헷갈리긴 하는데 그래도 막 어렵지는 않은 듯해서(당연히 상대적으로) 다행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Table of Contents

제1가산공간
[위상수학 공부] 18. 제1가산공간 1

정의 7.1 제1가산공간

위상공간 (X, 𝞣)의 모든 점 x가 가산 국소기저(countable local base)를 가질 때,  (X, 𝞣)를 제1가산공간(first countable space)라고 합니다.

예 7.2

(1) 거리공간 (X, d)의 점 p는 열린 공들의 집합

{S(p,1/n) | n ∈ ℕ}

을 국소기저로 가지므로 모든 거리공간은 제1가산공간입니다. 특히, 보통거리공간 (ℝ, d), (ℝ2, d)등은 제1가산공간입니다.

(2) 이산공간 (X, D)의 점 p는 한원소집합 {{p}}를 국소기저로 가지므로 모든 이산공간은 제1가산공간입니다. 예를 들어서 (ℝ, D)는 제1가산공간입니다.

(3) 비이산공간 (X, I)은 제1가산공간입니다. 왜냐하면 x ∈ X에 대해서 {X}가 가산 국소기저이기 때문입니다.

(4) 아래끝 위상공간(ℝ, Ll)은 제1가산공간입니다. 왜냐하면 임의의 x 원소 R에 대해

Bx={[x, x+(1/n)) | n ∈ ℕ }

이 가산 국소기저가 되기 때문입니다.

예 7.3

실수 집합 ℝ과 여유한위상으로 이루어진 위상공간 (ℝ, Cf)은 제1가산공간이 아닙니다. (ℝ, Cf)가 제1가산공간이라고 가정하면 실수 1은 가산 국소기저

B = {Bk | k ∈ K} (K는 가산집합)

를 갖습니다.  Bk는 이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이므로 R – Bk는 유한집합이고, 집합

A = ∪{ℝ – Bk | k ∈ K}

는 가산집합입니다. ℝ은 비가산집합이므로 A의 원소가 아닌 실수 p가 존재합니다.  ℝ은 비가산집합이므로 p는 1이 아니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p ∈ ℝ – A = ∩{Bk | k ∈ K}

이므로 모든 k ∈ K에 대하여 p는 Bk의 원소가 됩니다. 그러나 집합 ℝ – {p}는 1을 원소로 가지는 열린 집합이므로 1 ∈ Bn* ⊆ ℝ – {p}인 적당한 k의 원소 n*가 존재합니다. 그러면 p가 Bn*의 원소가 아니므로 모순입니다. 따라서 (ℝ, Cf)는 제1가산공간이 아닙니다. 

참고 7.5

가산집합 {Bk | k ∈ K}는 K가 유한집합이거나 자연수의 집합 N과 일대일대응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Bk | k ∈ K} = {Bn | n ∈ ℕ}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K가 가부번 집합일 경우는 K = ℕ으로 생각하고, K가 유한집합일 경우는 유한 개를 제외한 나머지 집합 Bn들이 모두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적당한 자연수 m에 대하여 n ≥ m일 때 Bn = Bm인 경우 K는 유한집합입니다.

정의 7.6

집합족 B={Bn l n ∈ ℕ}가  모든 n에 대하여

Bn+1 ⊆ Bn

일 때, 이 집합족이 축소성(nested property)을 갖는다고 합니다. 위상공간의 가산 국소기저가 축소성을 가질 때, 축소가산 국소기저(nested countable local base)라고 합니다. 제1가산공간의 모든 점은 축소가산 국소기저를 갖습니다.

증명

점 p가 제1가산공산 (X, 𝞣)의 한 점이면, 점 p에서 가산국소기저 Bp = {Bn | n ∈ ℕ}이 존재합니다. Gm = ∩n = 1~mBn이라 정의하겠습니다. 이제 집합

Bp* = {Gm | m ∈ ℕ}

가 p의 축소가산 국소기저임을 보이겠습니다. Gn+1 ⊆ Gn이므로 Bp*는 축소성을 갖습니다. Bp*의 기수가 Bp의 기수보다 클 수 없으므로, Bp*는 가산집합입니다. Bp*의 원소 Gn은 p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 Bn들을 유한 개 교집합한것이므로, 역시 p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입니다. p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 G를 택하면, Bp의 원소 Bn이 존재하여 p ∈ Bn ⊆ G가 됩니다. Gn은 p를 포함하는 Bn의 부분집합이므로, p ∈ Gn ⊆ Bn ⊆ G가 됩니다. 따라서 Bp*는 p의 축소가산국소기저입니다.

보조정리 7.9

 Bp={Bn  l n ∈ ℕ}를 제1가산공간 (X, 𝞣)의 한 점 p의 축소가산국소기저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Bp의  모든 원소 Bn에서 한 점씩을 택하여 만든 수열 < an >은 p로 수렴합니다.

증명

점 p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 G를 택하면 Bp는 p의 국소기저이므로, 적당한 Bn*가 Bp에 존재하여 p ∈ Bn* ⊆ G가 됩니다. Bp가 축소성을 가지므로 n ≥ n*일 때 an ∈ Bn ⊆ Bn* ⊆ G가 되어 수열 < an >은 p로 수렴합니다.

정리 7.10

f는 제1가산공간 (X, 𝞣)에서 위상공간 (Y, 𝞣*)로 가는 함수입니다. X의 한 원소 p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입니다.

  1. f는 p에서 연속입니다
  2. f는 p에서 수열연속입니다.

증명

(2) => (1) (X, 𝞣)가 제1가산공간이므로 p는 축소가산국소기저 Bp = {Bn | n ∈ ℕ}를 갖습니다. f가 p에서 연속이 아니라고 가정하면 f(p)를 포함하는 적당한 집합 H가 존재하여 p를 포함하는 모든 열린 집합

f(G) not ⊆ H

가 됩니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f(Bn) not ⊆ H입니다. 즉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Bn이지만 f(an) not ∈ H인 an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보조 정리 7.9에 의해 수열 < an >은 p로 수렴합니다. f가 수열연속이므로 수열 < f(an) >도 f(p)로 수렴합니다. 즉 수열 < f(an) >의 유한 개를 제외한 나머지 항들이 열린 집합 H에 들어갑니다. 이는 모순입니다. 따라서 f는 p에서 연속입니다. 

예 7.11

거리 공간은 제1가산공간이므로 거리 공간의 함수 f가 연속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수열연속이다.

사랑을 나누세요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