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lbert 공간, 노름공간
위상수학 공부 17. Hilbert 공간, 노름공간
이 부분이 내용이 다소 짧은 줄 알았는데 언제나 그렇듯이 글을 쓰다보면 많아집니다. 그리고 간만에 시그마 기호를 쓸 일이 있다보니 또 수학 코드를 입력하느라고 평소보다 시간이 더 많이 걸렸습니다. 사실 그렇게 적어줘야 보기도 좋긴 한데 좀 고됩니다… 하여튼 이번에는 Hilbert 공간과 노름공간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들을 적어봤습니다.
Table of Contents

정의 6.35
ℝn={(a1, a2, …. , an)} l ai ∈ ℝ, i = 1, 2, …, n}이라고 할 때, 함수 d : ℝn x ℝn → ℝ이 임의의 점 a = (a1, a2, …. , an), b = (b1, b2, …, bn) ∈ ℝn에 대하여,
d(a, b) = {(a1 – b1)2 + … + (an – bn)2}1/2
로 정의되어 있을 때, d를 유클리드 거리함수(Euclidean metric), 또는 보통거리함수(usual metric)이라고 부르며, 이때 (ℝn, d)를 n차원 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이라고 합니다. 이 거리함수로부터 유도되는 거리위상 U을 보통위상(usual topology)이라 하고, (ℝn, U)를 보통위상공간(usual topological space)이라 합니다.
집합 ℝn에 줄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거리함수는 유클리드 기하함수입니다. 또 이에 대한 정리로 유클리드 거리함수는 거리함수의 공리를 만족시킵니다. 즉, 실제로 거리함수가 됩니다.
정의 6.36
ℝ∞ = {< an > | a12 + a22 + … an2 + …. < ∞ }이라고 할 때, 즉, 각 항의 제곱들로 이루어진 무한급수가 수렴하는 수열들의 모임이 ℝ∞ 입니다.
예 6.37
a = < 1, 1, 1, … >, b = < 1/n >일 때, 12 + 12 + … 는 발산하므로 a는 ℝ∞의 원소가 아닙니다. 그러나 12 + (1/2)2 + … + (1/n)2 + …는 수렴하므로, b는 ℝ∞의 원소입니다.
정의 6.38
함수 d : ℝ∞ x ℝ∞ → ℝ이 ℝ∞의 원소 a=< an >와 b=< bn >에 대하여
로 정의되어 있을 때, 이 함수를 힐베르트 거리함수(Hilbert metric)또는 l2 거리함수(l2 metric)이라고 하고, (ℝ∞, d)을 힐베르트 공간(Hilbert space), 혹은 l2 공간(l2 space)으로 부릅니다. 무한차원 공간인 ℝ∞에도 이와 같이 힐베르트 거리함수를 줄 수 있습니다.
정리 6.39
l2 거리함수는 거리함수의 공리를 만족시킵니다. 즉 실제로 거리함수가 됩니다.
예 6.40
Hilbert 공간의 점 Pk = < aki >가
aki = 1(i = k일 때), aki = 0(i ≠ k일 때)
로 정의되었다고 하겠습니다. 수열 < Pn >에 대하여 생각하겠습니다. 사영함수 πi에 의하여 생성된 수열 < πi(Pn) >은 각 사영공간에서 0으로 수렴합니다.
P1 = < 1, 0, 0, 0 …>
P2 = < 0, 1, 0, 0 …>
P3 = < 0, 0, 1, 0 ….>
…
0 = < 0, 0, 0, 0, …>
그러나 수열 < Pn >은 모든 자연수 k에 대하여 d(Pk, 0) = 1이므로, 0으로 수렴하지 않습니다. 사실상 < Pn >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지 않습니다.
예 6.41
H* = {< 0, a1, a2, a3, … > | < a1, a2, a3, … > ∈ H }는 초항이 0으로 이루어진 H의 원소들의 집합이고 Hilbert 공간 H의 부분집합입니다. 함수
f : H → H*, f(< a1, a2, a3, … >) = < 0, a1, a2, a3, …>
는 등거리 함수이므로, H는 자신의 진부분집합과 등거리공간입니다.
정의 6.42
(V, +, · )이 벡터공간(vector space)이라고 할 때, V에서 ℝ로 가는 함수 || || : V → ℝ이 V의 원소 u, w와 실수 k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할 때, 벡터공간 V의 노름(norm)이라고 합니다.
- || v || ≥ 0이고, [ || v || = 0 ⇔ v = 0 ]입니다.
- || v + w || ≤ || v || + || w ||
- || kv || = | k | || v ||
이 때 (V, ll ll)을 노름공간(normed space)이라 정의하고, ll v ll를 벡터 v의 노름(norm)이라고 부릅니다.
정리 6.43
V가 노름공간일 때 함수
d : V x V → ℝ
d(v, w) = ll v – w ll는 V의 거리함수입니다. 이때 d를 V의 유도거리함수(induced metric)이라고 합니다.
증명
(1) d(v, w) = || v – w || ≥ 0이고 d(v, v) = || v – v || = 0입니다.
(2) d(v, w) = || v – w || = || (-1)(w – v) || = | -1| || w – v || = || w – v || = d(w, v)
(3) d(u, v) = || u – v || = || (u – w) + (w – v) || ≤ || u – v || + || w – v || = d(u, w) + d(w, v)
(4) v ≠ w이면 v – w ≠ 0이고, 따라서 d(v, w) = || v – w || > 0입니다.
모든 노름공간은 거리함수, 즉 유도거리함수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모든 노름공간은 거리공간이 되고, 결국 위상공간이 됩니다.
정의 6.44
( ℝm, +, · )은 두 개의 이항연산 +와 ·이 ℝm의 원소 (a1, …, am), (b1, … , bm)와 실수 k에 대하여, 다음 식으로 정의된 벡터공간입니다.
(a1, …, am) + (b1, … , bm) = (a1 + b1, … , am + bm)
K(a1, …, am) = (Ka1, …., Kam)
이때 ℝm에서 ℝ로 가는 함수 ll ll가
로 정의된 경우, 이 함수를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이라고 부릅니다.
정리 6.45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Cauchy-Schwarz inequality)
ℝm의 점 a = (a1, …, am)과 b = (b1, … , bm)에 대하여 || ||이 유클리드 노름일 때, 다음의 식을 만족합니다.
증명
a = 0이거나 b = 0일 때 등식이 성립합니다. a ≠ 0, b ≠ 0이라고 가정하면 || a || ≠ 0 이고 || b || ≠ 0입니다. 모든 실수 x와 y에 대하여
0 ≤ (x – y)2 = x2 – 2xy + y2
이므로 이는 곧
2xy ≤ x2 + y2
가 됩니다.
x = | ai | / || a ||, y = | bi | / || b ||
에 대하여 위의 부등식을 적용시키면, 임의의 자연수 i에 대하여 다음의 부등식을 얻습니다.
양 변의 i를 1에서 m까지 더하고,
을 대입하면 원하는 부등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을 이용하면 아래 민코프스키 부등식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정리 6.46
민코프스키 부등식(Minkowski inequality)
ℝm의 두 점 a와 b에 대하여
|| a + b || ≤ || a || + || b ||
이 성립합니다.
증명
a = (a1, …, am)이고 b = (b1, … , bm)이라고 하겠습니다. 만일 || a + b || = 0이면 항상 성립합니다. 이제 || a + b || ≠ 0 이라고 하겠습니다. 임의의 ai, bi ∈ ℝ에 대하여
| ai + bi | ≤ | ai | + | bi |
이고, 따라서
입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 의하여
이 됩니다. 따라서
|| a + b ||2 ≤ || a + b || || a || + || a + b || || b || = || a + b || ( || a || + || b || )
입니다. || a + b || ≠ 0 이므로 || a + b ||로 양변을 나누면, || a + b || ≤ || a || + || b || 입니다.
정리 6.47
ℝm 공간에서 유클리드 노름 || || 은 노름의 공리를 만족시킵니다. 즉, 실제로 노름이 됩니다.
예제 6.48
ℝ∞에서 노름을
\[||<a_{n}>||=\sqrt{\sum_{i=1}^∞ a_i^2}\]
이라 할 때, 민코프스키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풀이
ℝ∞의 원소 a = < an >와 b = < bn >에 대하여
입니다. 그런데 위 부등식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성립하므로,
이 되므로 ℝ∞에서도 민코프스키 부등식이 성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