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

[해석학 공부] 4장.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 관련 문제

해석학 네 번째 시간으로 무한급수, 그 중에서도 특히 수렴 판정법 관련 문제들을 몇 가지 공부해봤습니다. 판정법이 은근히 이것저것 많아서 사실 예시를 풍부하게 적고 해야 하는데 많이 부족하네요...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

해석학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

해석학 공부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 관련 문제.

들어가기 전에 : 네이버 블로그는 수식 적는 툴이 있어서 비교적 쉽게 수학을 적을 수 있다 치더라도 티스토리나 심지어는 저랑 같은 워드프레스로도 수학 포스팅을 깔끔하게 적으시는 분들이 많으시던데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제가 적은 글들을 계속 보는데 스스로 와 난 왜 이렇게밖에 못하지하고 자괴감이 들 정도입니다. 그래도 제 스스로 공부를 위한 것이니 최대한 열심히 하겠습니다. 무한급수, 그 중에서도 수렴 판정법 관련 문제를 조금 적어봤습니다. 사실 문제와 정리, 정의만 적는 것이 아니라 예제나 증명 등도 풍부하게 적어야 진짜 공부인데 제가 너무 시간이 부족하다보니 다소 부족한 공부를 하는 점 양해바랍니다…

Table of Contents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
[해석학 공부] 4장. 무한급수, 수렴 판정법 관련 문제 1

문제 1.

Let an > 0 for all n ∈ ℕ such that 

\[\sum_{n=1}^{\infty}a_{n} < \infty\]

Determine Whether the series

\[\sum_{n=1}^{\infty}\frac{5a_{n}a_{n+1}}{a_{n}+3a_{n+1}}\]

and

\[\sum_{n=1}^{\infty}\left(-1\right)^n\frac{1-a_{n}}{2+a_{n}}\]

justify your answer.

풀이

(1)

\[\sum_{n=1}^{\infty}\frac{5a_{n}a_{n+1}}{a_{n}+3a_{n+1}}\]

converges

(∵) Let xn = 5(anan+1)/2(an+3an+1) and yn=an

then

\[\lim_{n \rightarrow \infty} \frac{x_{n}}{y_{n}} = \lim_{n \rightarrow \infty}\frac{5a_{n+1}}{2a_{n}+3a_{n+1}}=\lim_{n \rightarrow \infty}\frac{5a_{n+1}}{2a_{n+1}+3a_{n+1}}=1\]

and

\[\sum_{n=1}^\infty y_{n} < \infty\]

so by the limit comparison test, 

\[\sum_{n=1}^{\infty}\frac{5a_{n}a_{n+1}}{a_{n}+3a_{n+1}}\]

converges

(2) 

\[\sum_{n=1}^{\infty}\left(-1\right)^n\frac{1-a_{n}}{2+a_{n}}\]

converges

(∵) Note that 

\[\lim_{n \rightarrow \infty} a_{n} = 0\]

since

\[\sum_{n=1}^\infty a_{n} < \infty\] \[\lim_{k \rightarrow \infty}(-1)^{2k} \frac{1-a_{2k}}{2+a_{2k}}=\frac{1}{2}\neq-\frac{1}{2}=\lim_{k \rightarrow \infty}(-1)^{2k+1} \frac{1-a_{2k+1}}{2+a_{2k+1}}\]

since

\[∄\lim_{n \rightarrow \infty}(-1)^{n}\frac{1-a_{n}}{2+a_{n}}\]

then

\[\sum_{n=1}^\infty(-1)^{n}\frac{1-a_{n}}{2+a_{n}}\]

diverges by the divergence test

  • 참고

(1)

\[\sum_{n=1}^\infty a_{n} <\infty \Rightarrow converge\]

(2) limit comparison test

\[when\ a_{n}, b_{n}, 0<\lim_{n \rightarrow \infty} \frac{b_{n}}{a_{n}} <\infty\] \[\Rightarrow\sum_{n=1}^\infty a_{n}, \sum_{n=1}^\infty b_{n}\]

둘 중 하나가 수렴이면 다른 하나도 수렴, 둘 중 하나가 발산이면 다른 하나도 발산

(3) divergence test

\[\lim_{n \rightarrow \infty} a_{n} \neq \Rightarrow\sum_{n=1}^\infty a_{n} = \infty\]

문제 2.

Let an > 0 and an ≥ an+1 for all n ∈ N. if

\[\lim_{n \rightarrow \infty} a_{n} = 0\]

, prove that

\[\sum_{n=1}^\infty (-1)^{n} a_{n} \]

converges

증명
\[\mid \sum_{k=1}^n(-1)^{k}\mid \leq1\]

and

\[\left\{a_{n}\right\}_{n=1}^\infty\]

is decreasing with 

\[\lim_{n \rightarrow \infty} a_{n} = 0\]

so by the Dirichlet test,

\[\sum_{n=1}^\infty(-1)^{n}a_{n} \]

converges

  • 참고

1) an ≥ an+1 : decreasing

2)

\[\mid\sum_{n=1}^\infty(-1)^{n}\mid \leq1\ \ : bounded\]


3) Dirichlet test

⇔ {an} ↓0 as n → ∞ and

\[\mid\sum_{k=1}^n b_{k}\mid\ \ is\ bounded\] \[\Rightarrow\sum_{n=1}^\infty a_{n}b_{n}<\infty\\]

문제 3.

Determine whether each of the following series converges or not (justify your answer)

풀이

(1)

\[\sum_{k=1}^\infty \frac{(k+2)!}{k^{k+1}}\]

let 

\[a_{n} = \frac{(n+2)!}{n^{n+1}}\]

then

\[\lim_{n \rightarrow \infty} \frac{a_{n+1}}{a_{n}} = \lim_{n \rightarrow \infty} \frac{(n+3)!}{(n+1)^{n+2}} \cdot\frac{n^{n+1}}{(n+2)!}\] \[=\lim_{n \rightarrow \infty} \left( \frac{n}{n+1}\right)^{n+1}\cdot\frac{n+3}{n+1}=\lim_{n \rightarrow \infty} \left( 1-\frac{1}{n+1} \right)^{n+1}\cdot\frac{n+3}{n+1}\] \[=\frac{1}{e}<1 (\because \lim_{n \rightarrow \infty} (1+\frac{1}{n})^{n} = e)\]

by the ratio test, the series converges.

(2)

\[\sum_{k=1}^\infty \sin\left( 1-\frac{\sin k}{k} \right)\] \[\lim_{n \rightarrow \infty} sin(1-\frac{\sin n}{n}) = \sin \left( \lim_{n \rightarrow \infty}(1-\frac{\sin n}{n}) \right)\] \[=\sin 1 \neq0\]

by the divergence test, the series does not converge

(3)

\[\sum_{k=1}^\infty \frac{1}{\sqrt{k}}(1+\frac{1}{k})2k\]

Let

\[a_{n}=\frac{1}{\sqrt{n}},\,\,b_{n}=\frac{1}{\sqrt{n}}(1+\frac{1}{n})^{2n}\]

then

\[\lim_{n \rightarrow \infty} \frac{b_{n}}{a_{n}} = \lim_{n \rightarrow \infty} (1 + \frac{1}{n})^{2n}=e^{2}\]

and

\[\sum_{n=1}^\infty a_{n}\]

diverges by the p-series test by the limit comparison test, the series diverges.

참고

(1) Divergence test (밑에서 설명)

(2) comparison test

an ≤ bn, ∀n ∈ ℕ

\[\sum_{n=1}^\infty b_{n} < \infty \Rightarrow \sum_{n=1}^\infty a_{n} < \infty\,\, (converge)\] \[\sum_{n=1}^\infty a_{n} = \infty \Rightarrow \sum_{n=1}^\infty b_{n} = \infty\,\, (diverge)\]

(3) Limit comparison test

(4) Integral test (p-series test)

\[\sum_{x=1}^\infty \frac{1}{x^{p}} \Rightarrow p>1 : converge,\,\,\, p<1 : diverge\]

(5) ratio test

\[\lim_{n \rightarrow \infty} \frac{a_{n+1}}{a_{n}}<1 : converge\] \[\lim_{n \rightarrow \infty} \frac{a_{n+1}}{a_{n}}>1 : diverge\]

(6) Alternative Series Test

\[\sum_{n=1}^\infty (-1)^{n} a_{n}, a\downarrow0\Rightarrow series : converge\]

문제 4.

Let the sequence {fn} with n ≥ 1 be defined on [0, 2] by

\[f_{n}(x) = \begin{cases}x & if\,\, 0\leq n\leq\frac{1}{n}\\\frac{1}{n} & if\,\, \frac{1}{n}\leq x\leq2\end{cases}\]

Find the pointwise limit function of fn. Is it uniformly convergent?

풀이

The pointwise limit function of fn is f = 0 on [0, 2]

(∵) for each x ∈ (0, 2], ∃ N ∈ ℕ s. t. 1/N < x. so ∀ n ≥ N. fn(x) = 1/N.

Thus

\[f(x)=\lim_{n \rightarrow \infty} f_{n}(x)=0 \,\, (x\neq0\,인\,경우)\]

if x=0, then fn(x)=0 for all n ∈ ℕ

thus

\[f(x)=\lim_{n \rightarrow \infty} f_{n}(x) = 0\,(x=0\,인\,경우)\]

fn uniformly converges to f=0 on [0, 2]

(∵) Goal ∀ ε > 0, ∃ N ∈ ℕ s. t. |fn(x) – f(x)| < ε, ∀n ≥ N, ∀x ∈ [0, 2]

let ε > 0 be given

Take N ∈ ℕ s. t. N > 1/ε

Then n ≥ N ⇒ |fn(x) – f(x)| ≤ |1/n – 0| ≤ 1/N < ε for all x ∈ [0, 2]

\[\left\{ f_{n} \right\}_{n=1}^\infty \rightarrow f\]
참고

f is uniformly convergent on A

⇔ ∀ ε > 0, ∃ N ∈ ℕ s. t. |fn(x) – f(x)| < ε, ∀ n ≥ N, ∀ x ∈ A

  • 0 ≤ x ≤ 1/n, |fn(x) – f(x)| ⇒ |x| ≤ 1/n
  • 1/n ≤ x ≤ 2, |fn(x) – f(x)| ⇒ |1/n|= 1/n
  • ⇒ |fn(x) – f(x)| ≤ 1/n

문제 5.

For each k ∈ ℕ, let 

\[f_{k}(x)=\frac{x}{(1+x^{2})^{k}}\]

Let

\[f(x)=\sum_{k=1}^\infty f_{k}(x)\]

for each x ∈ ℝ. Find an explicit value of f(x). Is it uniformly convergent on ℝ?

풀이

(1)

if x ≠ 0, 

\[\sum_{n=1}^\infty \frac{x}{(1+x^{2})^{k}} = \frac{\frac{x}{1+x^{2}}}{1-\frac{x}{1+x^{2}}}=\frac{\frac{x}{1+x^{2}}}{\frac{x^{2}}{1+x^{2}}}=\frac{1}{x}\,\,\left(\circledast\,\,\,\frac{초항}{1-공비\,\,\,\,\,}\right)\]

if x=0,

\[\sum_{n=1}^\infty \frac{x}{(1+x^{2})^{k}} = 0\]

(2) if {fn} is continuous on ℝ & {fn} converge uniformly on ℝ ⇒ f is continuous on ℝ

f(x) = 1/x (if x ≠ 0) / 0 (if x = 0) ⇒ is not continuous

since {fn} is continuous on ℝ, then {fn} does not converge uniformly on ℝ

참고

(1) {fn} is continuous on ℝ & {fn} converge uniformly on ℝ⇒ f is continuous on ℝ

(2) f is not continuous on ℝ

⇒ {fn} does not converge uniformly on ℝ or {fn} is not continuous on ℝ

(1)과 (2)는 대우관계

정리 1.

f : X ⊂ ℝ → ℝ이고, a ∈ X라고 하면,

함수 f가 점 a에서 연속이다 ⇔ ∀ {xn} ⊂ X s.t. xn → a, f(xn) → f(a).

이를 연속성의 수열판정법이라고 합니다.

정리 2.

f : X ⊂ ℝ → ℝ이고, a ∈ X라고 하면,

함수 f가 점 a에서 불연속이다 ⇔ ∃ {xn} ⊂ X s.t. xn → a, f(xn) ↛ f(a).

이를 불연속성의 수열판정법이라고 합니다.

정의 3.

실수의 수열 {an} ⊂ ℝ이 주어졌을 때, 각 자연수 n에 대하여 제n항까지의 합

\[s_{n} = a_{1} + a_{2} + \ … \ + a_{n}=\sum_{k=1}^n a_{k}\]

이것들로 구성된 수열 {sn} ⊂ ℝ을 수열 {an} ⊂ ℝ로부터 생성된 무한급수(infinite series), 또는 줄여서 급수라고 합니다. 이때 an을 무한급수의 제n항이라고 하고, 실수 Sn을 무한급수의 제n부분합(the nth partial sum)이라고 부릅니다.

정의 4.

무한급수 {sn}이 주어졌을 때, 그 부분합들의 수열 {sn} ⊂ ℝ이 어떤 실수 S에 수렴하면 이 주어진 무한급수를 ‘S에 수렴한다‘또는 ‘S를 갖는다‘라고 하고, 발산하면 주어진 무한급수를 발산한다라고 합니다.

정리 5.

무한급수 {sn}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주어진 임의의 ε > 0에 대해 적당한 자연수 N(ε)이 존재해서 m ≥ n ≥ N(ε)이면

|sm – sn| = |an+1 + an+2 + … + am| < ε

급수에 대한 코시 수렴판정법이라고 합니다.

정리 6.

무한급수 {sn}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조건

\[\Rightarrow \lim_{n \rightarrow \infty} a_{n}=0\]
  • 이 정리의 역은 참이 아닙니다.

정의 7.

임의의 급수 {sn}에 대하여, 각 항의 절대값을 취한 급수 {sn}이 수렴하면 주어진 급수는 절대수렴(absolutely convergent)한다고 합니다. 주어진 급수가 수렴은 하지만 절대수렴하지는 않으면 주어진 급수는 조건수렴(conditionally convergent)한다고 합니다.

정리 8.

\[두\ 급수 \sum_{n=1}^\infty a_{n},\ \sum_{n=1}^\infty b_{n}에\ 대해\]

|an| ≤ |bn|, ∀n ∈ N일 때,

1)

\[\sum_{n=1}^\infty b_{n}이\ 절대수렴,\ \sum_{n=1}^\infty a_{n}도\ 절대수렴\] \[\sum_{n=1}^\infty |a_{n}| \leq\sum_{n=1}^\infty |b_{n}|\]

2)

\[\sum_{n=1}^\infty |a_{n}|이\ 발산하면\ \sum_{n=1}^\infty |b_{n}|도\ 발산한다\]

이를 비교 판정법(Comparison test)이라고 합니다.

정리 9.

\[두\ 급수 \sum_{n=1}^\infty a_{n},\ \sum_{n=1}^\infty b_{n}에\ 대해\] \[b_{n}\neq0,\ \forall n\in N,\ \lim_{n \rightarrow \infty}\vert\frac{a_{n}}{b_{n}}\vert=L\leq\infty\]

(1) 0 < L < ∞일 때,

\[\sum_{n=1}^\infty a_{n}이\ 절대수렴 \Leftrightarrow \sum_{n=1}^\infty b_{n}이\ 절대수렴\]

(2) L = 0일 때,

\[\sum_{n=1}^\infty b_{n}이\ 절대수렴 \Rightarrow \sum_{n=1}^\infty a_{n}이\ 절대수렴\]

(3) L = ∞일 때,

\[\sum_{n=1}^\infty |b_{n}|이\ 발산 \Rightarrow \sum_{n=1}^\infty |a_{n}|이\ 발산\]

이를 극한비교판정법(Limit comparison test)이라고 합니다.

정리 10.

\[급수 \sum_{n=1}^\infty a_{n}, 수열 \left\{b_{n}\right\}에\ 대하여\]

(1)

\[\sum_{n=1}^\infty a_{n} 절대수렴,\ \left\{b_{n}\right\} 유계\] \[\Rightarrow \ \sum_{n=1}^\infty a_{n}b_{n}\ 절대수렴\]

2)

\[\sum_{n=1}^\infty |a_{n}|\ 발산,\ \left\{\frac{1}{b_{n}}\right\} 유계\] \[\Rightarrow \ \sum_{n=1}^\infty |a_{n}b_{n}|\ 발산\]

정리 11.

\[급수\ \sum_{n=1}^\infty a_{n}에\ 대해\] \[\lim_{}sup_{n \rightarrow \infty} |a_{n}|^{\frac{1}{n}}=L\ (L\leq\infty)\]

이면,

(1) L < 1이면 절대수렴

(2) L > 1이면 발산

이를 n승근 판정법(nth root test)이라고 합니다.

정리 12.

\[급수\ \sum_{n=1}^\infty a_{n}에\ 대해\]

an ≠ 0, ∀n ∈ N이고,

\[\lim_{n \rightarrow \infty} |\frac{a_{n+1}}{a_{n}}| = L\ (L \leq\infty)\]

일 경우

(1) L < 1이면 절대수렴

(2) L > 1이면 발산

이를 비율 판정법(Ratio test)이라고 합니다.

정리 13.

함수 f : I = [1, ∞) → ℝ이 I 위에서 양이고 감소하는 연속함수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급수\ \sum_{n=1}^\infty f(n)에\ 대해\\]

(1) 급수가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래 이상적분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int_{1}^{\infty} f(x)dx = \lim_{n \rightarrow \infty}\int_{1}^{\infty} f(x)dx\]

(2) 이 때,

\[if\ s_{n}=\sum_{k=1}^n f(k), s=\sum_{k=1}^\infty f(k)\] \[\int_{n+1}^{\infty} f(x)dx \leq s-s_{n}\leq \int_{n}^{\infty} f(x)dx\]

이를 적분 판정법(Integral test)이라고 합니다.

사랑을 나누세요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