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부, 외부, 경계 (2), 수열의 수렴
위상수학 공부 5장. 내부, 외부, 경계 (2), 수열의 수렴
위상수학도 적어놓은 것들은 많았습니다만 시험 등등 너무 많아서 여기 정리하는 시간은 또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왕 방학이 되었으니 다시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나머지 내용들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내부, 외부, 경계 2편, 그리고 수열의 수렴 관련 내용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 다른 화보다도 조금 퀄리티가 낮을 수 있는데,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문제로 인해 자동저장이 잘 안되서 한번 적은 내용이 다 날아가서 현타가… 왔습니다. 죄송하고 한번만 양해부탁합니다…
Table of Contents

제4절 내부, 외부, 경계
정의 3.44
위상공간 (X, Τ)의 부분집합 A에 대해 int(cl(A)) = ∅ 일 때, A는 어디서도 조밀하지 않다(nowhere dense)고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어디선가 조밀하다(somewhere dense)고 합니다.
예 3.45
- 보통위상공간 (ℝ, u)의 부분집합 ℕ에 대해 int(ℕ¯) = int(ℕ) = ∅이므로, ℕ은 어디서도 조밀하지 않습니다.
- 보통위상공간 (ℝ, u)의 유한부분집합 F에 대해 int(F¯) = int(F) = ∅이므로, F는 어디서도 조밀하지 않습니다.
- 보통위상공간 (ℝ, u)의 부분집합 ℚ에 대해 int(ℚ¯) = int(ℝ) = ℝ ≠ ∅이므로, ℚ는 어디선가 조밀합니다.
예 3.46
보통위상공간 (ℝ, u)의 부분집합 A = {1/n l n ∈ ℕ }를 생각하면, int(A¯) = int(A ∪ {0}) = ∅이므로, A는 어디서도 조밀하지 않습니다.
예제 3.47
보통위상공간 ℝ에서 I0=[0, 1]이라 하고, 중간에서 1/3 길이의 열린 구간을 제거하여 I1이라 가정하겠습니다. 즉,
I1 = [0, 1/3] ∪ [2/3, 1]
이 됩니다. I1에서 남아 있는 구간의 중간에서 각각 그 구간의 1/3 길이의 열린 구간을 제거하여 I2라 하겠습니다. 즉,
I2 = [0, 1/9] ∪ [2/9, 1/3] ∪ [2/3, 7/9] ∪ [8/9, 1]
입니다. 즉 모든 k = 1, 2, 3, …에 대해서 Ik-1의 각 구간에서 가운데 1/3 길이의 열린 구간을 제거하여 Ik를 구합니다. 이제 집합 C를
C = ∩(K=0~∞)Ik
라고 하면, 이 집합을 칸토어 집합(Cantor set)이라고 합니다. 칸토어 집합은 어디서도 조밀하지 않습니다.
이를 보이면 Ik 각각은 유한 개의 닫힌 구간의 합집합이므로 닫힌 집합입니다. 칸토어 집합은 닫힌 집합 Ik들의 교집합이므로 닫힌 집합입니다. 또한 칸토어 집합은 어떤 열린 구간도 부분집합으로 포함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열린 구간은 항상 양의 길이를 가지므로 그 길이를 δ라 하겠습니다. 모든 Ik는 각각의 성분 구간의 길이가 1/(3k)입니다. 따라서 길이가 δ인 열린 구간은 각 성분 구간의 길이가 1/(3k) < δ인 Ik에 포함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칸토어 집합에 포함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떤 내점도 갖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int(cl(C)) = int(C) = ∅이 됩니다.
정의 3.48
위상공간 (X, Τ)의 점 p와 부분집합 A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점 p가 A의 내점일 때, 집합 A를 점 p의 근방(neighborhood)이라고 합니다. 즉, p를 포함하는 A의 열린 부분집합이 존재하면, A는 p의 근방입니다.
- A의 모든 열린 부분집합들의 합집합 int(A) = ∪{G | G는 열린 집합, G ⊆ A} 이것을 A의 내부라고 합니다.
- 내점 관련 링크
예 3.49
- 보통위상공간 (ℝ, u)의 점 a에 대해, 열린 구간 (a – 1, a + 1)은 열린 구간 (a – 1, a + 1)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a – 1, a + 1)는 a의 근방입니다.
- 보통위상공간 (ℝ, u)의 점 a를 생각할 때 닫힌 구간 [a – 1, a + 1]은 열린 구간 (a – 1, a + 1)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a – 1, a + 1]는 a의 근방이 됩니다.
- 이산공간 (X, D)에서 X의 점 p에 대해, 집합 {p}는 점 p를 포함하고 {p} 자신의 열린 부분집합입니다. 따라서 p의 근방입니다.
- 이산공간 (X, D)에서 X의 점 p를 포함하는 모든 부분집합은 p의 근방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한 점의 근방은 열린 집합일 필요가 없습니다. 특별히 근방이 열린 집합일 경우는 열린 근방, 닫힌 집합인 경우는 닫힌 근방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점을 포함하는 열린 집합인 경우는 그 열린 집합 자신이 근방이 됩니다.
예제 3.50
집합 X = {a, b, c, d} 위에 위상 Τ = {X. ∅, {a}, {a, b}, {a, c, d}}가 주어졌다. 각 점의 근방을 모두 구하시오.
풀이
집합 {a}가 a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이므로 {a}의 포함집합들이 a의 근방입니다. a의 근방을 모두 구하면
{a}, {a, b}, {a, c}, {a, d}, {a, b, c,}, {a, c, d}, {a, b, d}, X입니다.
b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열린 집합은 {a, b}입니다. 따라서 {a, b}의 포함집합들이 b의 근방이 됩니다. 그러므로
{a, b}, {a, b, c}, {a, b, d}, X가 점 b의 근방이 됩니다.
점 c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열린 집합은 {a, c, d}입니다. 따라서
{a, c, d}, X가 점 c의 근방들입니다.
마찬가지로 {a, c, d}, X가 점 d의 근방들입니다.
예제 3.51
위상공간 (X, Τ)의 부분집합 A가 열린 집합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A가 자신의 모든 원소의 근방이 되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시오.
풀이
A가 열린 집합이면 모든 a ∈ A에 대하여 a ∈ A ⊆ A이 되므로 A는 a의 근방이 됩니다. 역으로 모든 a ∈ A에 대하여 A를 a의 근방이라고 하면, 적당한 열린 집합 Ga ∈ Τ가 존재하여 a ∈ Ga ⊆ A가 됩니다. 따라서
A = ∪{{a}} l a ∈ A} ∈ ∪{Ga l a ∈ A} ⊆ A
이 됩니다. 결국 A = ∪{Ga l a ∈ A}이고 Ga 각각이 열린 집합이므로 A도 열린 집합이 됩니다.
제5절 수열의 수렴
정의 3.52
(X, Τ)는 위상공간이고 <an : n ∈ ℕ >은 X의 점들로 이루어진 수열입니다. X의 점 a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 G가 수열 <an>의 유한 개를 제외한 나머지 항들을 모두 포함할 때, <an>은 a로 수렴(converge)한다고 하고, a는 수열 <an>의 극한(limit)이라고 부릅니다. 즉, <an>이 a로 수렴하면, a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 G를 잡았을 때 적당한 자연수 n*가 존재하여, n > n*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G이 됩니다.
예 3.53
보통위상공간 (R, u)에서
- 수열 <1/n>은 수렴하는 수열입니다.
- 수열 <1, 1, 1, 1,…>과 <3, 3, 3,…>은 수렴하는 수열입니다.
- 수열 <1, 0, 1/2, 0, 1/3, 0, …>은 수렴하는 수열입니다.
- 수열 <1, -1/2, 1/3, -1/4, …>은 수렴하는 수열입니다.
보통위상공간 (R, u)의 수렴하는 수열은 오직 한 개의 극한을 가진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위상공간에서 수렴하는 수열은 두 개 이상의 극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 3.54
<an>은 비이산공간 (X, I)의 수열입니다. X의 점 a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은 X밖에 없고, X는 수열 <an>의 모든 항을 포함하므로, <an>은 X의 모든 점으로 수렴합니다. 예를 들어 수열 <1, 2, 3, …>은 보통위상공간 (ℝ, u)에서는 수렴하지 않지만, 비이산공간 (ℝ, I)에서는 모든 실수로 수렴합니다. 수열 <1, 1/2, 1/3, …>은 보통위상공간 (ℝ, u)에서는 0으로만 수렴하지만, 비이산공간 (ℝ, I)에서는 모든 실수로 수렴합니다.
예 3.55
<an>은 이산공간 (X, D)의 수열입니다. {a}가 X의 점 a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이므로, <an>이 수렴하기 위해서는 유한 개를 제외한 모든 항이 a이어야 합니다. 즉, <a1, a2, …, an*, a, a, a, ….>의 형태의 수열만 a로 수렴합니다. 예를 들어 수열 <1, 1/2, 1/3, …>은 (R, D)에서는 수렴하지 않습니다.
예제 3.56
여가산공간(cocountable space)에서 수열 <an>이 p로 수렴한다고 하면, <an>의 형태는 <a1, a2, …, an*, p, p, p,…>이다. 이를 보여라.
풀이
집합 A = {an l an =/ p}를 생각하면 A는 가산집합이고 따라서 X – A는 p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입니다. 수열 <an>이 p로 수렴하므로 X – A는 <an>의 유한 개를 제외한 나머지 항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결국 A는 <an>의 유한 개의 항만을 포함합니다. 그러므로 <an>의 형태는
<a1, a2, …, an*, p, p, p,…>가 됩니다.
예 3.57
실수의 여가산공간 (ℝ, Cc)에서는 수열 <1, 1/2, 1/3, …>이 수렴하지 않습니다.
예제 3.58
여유한공간 (ℝ, Cf)에서 수열 <1, 2, 3,…>은 수렴하는가?
풀이
임의의 실수 p를 고정하고 p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 G를 잡겠습니다. G가 ∅이 아닌 열린 집합이므로 Gc는 유한집합입니다. 따라서 Gc는 위 수열의 유한 개의 항 만을 포함합니다. 즉, G는 유한 개를 제외한 모든 항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위 수열은 점 p로 수렴합니다. 그런데 p가 임의의 점이므로 위 수열은 모든 실수로 수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