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부] CANSLIM 원칙 등.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정리 1부

Last Updated: 2023년 7월 8일 Categories: , , , Tags: , ,
Canslim

CANSLIM 법칙 등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정리 1. CANSLIM 법칙, 주목해야 할 다른 패턴들 등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이라는 유명한 주식 책을 다 읽고 그냥 읽었다 끝으로 끝내기는 아쉬워서 제가 나름대로 적은 내용들을 공부하는 겸해서 적어보고자 합니다. 제 능력부족으로 그래프 등을 올리지 못해서 많이 아쉽네요. 이 책의 그래프를 어떻게 찾을 수라도 있으면 올려보겠습니다만... 1부는 CAN SLIM 법칙 및 여러 패턴들에 대한 내용들이 있습니다.

  • 들어가기 전에: 제가 스스로 정리한 내용을 적는 것이기 때문에 내용이나 설명 등이 부실하다고 생각되신다면 직접 책을 읽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이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정리본은 총 7편으로 되어있습니다.

2편 최근의 주당 분기 순이익
3편 연간 순이익 증가율 등
4편 약세장에서 나타나는 이상 강세 등
5편 강세장 정점 신호, 약세 징후, 지지선의 붕괴 신호 등
6편 다른 중요한 매도 지침들,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 21가지
7편 반드시 명심해야 할 지침들 등(업데이트 예정)

Canslim

  1. 주가가 올라갈 때 매수해야 한다. 추가 매수도 앞선 매수 가격보다 상승했을 때 해야한다.
  2. 어느 주식이든 연중 신고가에 접근했거나 다다랐을 때 매수해야 한다. 헐값에 거래되는 싸구려 주식보다는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주식이 좋다.
  3. 손실이 작을 때 재빨리 매도해야 한다.
  4. 기업의 장부가치와 배당금, 주가수익비율(PER)은 신경 쓰지 마라. 이익 성장률과 주가 및 거래량 추이같은 것을 주목해라. 순이익이 업계 1위인지가 중요하다.
  5. 시장 소식지나 투자자문 서비스도 필요 없다.
  6. 주가 차트를 볼 줄 알아야 한다.

CANSLIM 원칙

C 현재의 주당 분기 순이익: 클수록, 빠르게 성장할수록 좋다.
A 연간 순이익 증가율: 성장의 열쇠
N 신제품, 신경영, 신고가: 적절한 시점에 매수하자.
S 수요와 공급: 결정적인 시점에서의 대규모 수요
L 주도주인가 소외주인가: 어느 쪽인가?
I 기관의 뒷받침: 리더의 움직임을 좇으라
M 시장의 방향성: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매출과 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이 가장 중요하다.

  • 가장 일반적인 주가 패턴: 손잡이가 달린 컵. 7주에서부터 65주까지 다양하며 보통 3~6개월. 컵의 윗부분에서부터 조정을 받기 시작해서 12~33퍼 정도의 주가 하락률을 기록한 후 최소 30퍼 이상의 확실한 상승세를 보이는 모양. 어지간하면 밑부분이 V보다는 U가 되야 한다.
  • 폭발적인 상승을 보이는 종목들은 떨어질 때 신고가에서 많아도 5에서 15퍼 정도 떨어진다. 떨어졌을 때 갑자기 오르는 종목들도 위험하다.
  • 손잡이 부분의 특징
  1. 적어도 1, 2주 이상에 걸쳐 만들어지며 주가가 주르륵 흘러내리거나 매물 출회가 이뤄진다.
  2. 손잡이 부분의 주가 되돌림 국면에서 거래량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3. 예외가 있지만 보통 손잡이 부분에서 거래량이 늘어나지 않는다.
  4. 손잡이가 없는 종목도 성공하는 경우도 있다.
  • 손잡이가 반드시 컵의 상단에서 만들어져야 한다. 컵모양이 시작되는 앞서의 천정 지점과 컵의 바닥 지점 사이에서 중간 이상 부분에 손잡이가 걸쳐져야 한다. 또 반드시 10주 이동평균선 위에 있어야 한다.
  • 손잡이가 저점이 조금씩 올라가는 쐐기형, 저점이 떨어지지 않고 횡보하는 경우도 실패가능성이 높다. 쐐기형은 매물 출회나 주가의 되물림을 놓칠 수 있다.
  • 손잡이 부분에서의 하락률은 강세장에서 고점 대비 10 15퍼가 적정하다.
  • 좋은 주가 패턴은 진폭이 짧다. 주중 고점과 저점 간의 차이가 아주 작다. 몇 주간 동가가 거의 변동이 없거나 전 주의 종가 근처에서 마감된다. 가령 바닥권에서 고점과 저점과의 차가 크다면 실패하는 경우가…

거래량 변화에 주목해 매수 시점을 찾자

분기점, 매수 지점, 혹은 최소 저항선을 넘어서 상승하려면 하루 거래량이 평소보다 적어도 4~50% 이상 증가해야 한다. 순간 거래량이 평균을 웃돈다면 보통 프로 기관투자자들이 매수하고 있는 것.

주가가 오름세로 반전했을 때 매수를 결정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꼭 신고가를 경신할 필요는 없고 대부분 오히려 전고점보다 5~10퍼 낮을 때가 진짜다.

지점 근처에서 거래량이 고갈되는지 확인하라

제대로 형성된 모양은 컵의 바닥과 저점 부근에서 1~2주 혹은 손잡이 부분에서 몇 주 동안 거래량이 급격히 말라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대규모 매도 물량이 거의 다 소화됐으며 더 이상 시장에 출회될 매물이 없다는 뜻이다. 바닥권에서의 거래량 증발이 앞서 소개한 짧은 진폭(변동폭이 작다)과 함께 나타난다면 더 좋다.

거래량의 급증도 눈여겨보자

일간, 주간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매수 신호다. 혹은 몇 주간 거래량을 수반한 주가 상승이 있다가 다음 몇 주간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들어도 긍정적인 신호다. 주간과 일간을 함께 사용하면 발견 가능하다.

평균 거래량보다 많은 거래량을 수반하며 주가가 상승한 주가 평균 거래량보다 많은 거래량을 수반하며 주가가 하락한 주보다 더 많다면 이는 긍정적인 신호이다.

주가 패턴의 8~90퍼는 시장 전반의 조정기에 만들어지며 그렇기에 약세장이야말로 최고의 주식을 만들어내는 원천이다.

주목해야 할 다른 패턴들

  • 손잡이가 달린 접시 주가 패턴. 손잡이가 달린 컵 모양과 비슷하지만 접시부분이 매우 길고 깊이는 얇다.
  • 이중 바닥 주가 패턴. W자와 비슷하다. 중요한 점은 두 번째 저점이 첫 번째 저점과 같거나 대부분은 약간 더 낮다. 여기서 W자의 오른쪽 상단 지점에서 매수한다. 매수 지점의 주가는 반드시 W자의 가운데 있는 중 고점과 일치해야 한다. 이때의 주가는 모양이 시작되는 이전 고점보다 낮아야 한다.
  • 평평한 모양의 정의. 손잡이가 달린 컵 모양이나 손잡이가 달린 접시, 또는 이중 바닥 주가 패턴이 나타난 다음 주가가 20% 이상 오른 뒤 이어지는 두 번째 국면에서 주로 만들어진다. 평평한 모양은 적어도 5~6주간 아주 좁은 가격대에서 주가가 횡보하고, 조정을 받아도 10~15%조차 떨어지지 않는다.
  • 정방형(square). 정방형 주가 패턴은 손잡이가 달린 컵 혹은 이중 바닥을 만든 다음 주가 상승을 이어간 뒤 나타나는 모양으로 통상 4~7주에 걸쳐 만들어진다. 이 모양에서 조정폭은 깊지 않아 대개 10~15%에 그치고, 모양이 완성되면 사각형 상자처럼 보인다.
  • 높이 치솟는 깃발형. 아주 드물고 강세장에도 역시 드물다. 4~8주의 정도의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주가가 100~120% 상승한 뒤 나타나는데, 조정을 받더라도 3~5주 정도 횡보하면서 기껏해야 10~25% 이내로 하락한다.
  • 모양 위의 모양(base on top of a base). 아주 강력한 종목이 모양을 형성한 뒤 신고가를 경신하면 상승했지만 시장 전반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는 바람에 상승률이 20~30% 수준을 넘지 못할 때 나타난다.
  • 결국 이 주식은 다시 떨어져 주요 지수가 새로운 저점을 만드는 사이 앞서 형성했던 모양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에너지를 축적하는 두 번째 모양을 만들게 된다. 그 후에 엄청난 상승세.
  • 오르막 모양. 손잡이가 달린 컵 모양이나 이중 바닥을 만든 뒤 상승세를 타는 와중에 나타남. 매도 공세로 인해 세 차례 정도 주가가 10~20% 되돌림 하면서 형성되는데, 각각의 저점은 앞서의 저점보다 조금씩 높다. 이 때의 주가 되돌림은 시장 전반이 하락하면서 불가피하게 이뤄지는 것.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Popular posts:


© 2018 – 2023 All Rights Reserved
magnifiercrosschevron-down